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 주택의 생활공간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의,식,주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본 연구는 과거 전통 민가로 부터 현대 도시 주택에 이르기 까지 제주 주택의 시대적 변화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 내용은 제주주택의 주거 공간구성 방식의 구조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기에 제기되었던 문제는 1. 제주 주택의 주 공간구성 방식은 어떤 원리적 법칙성이 있을 것인가. 2. 제주의 주택은 시대적으로 분류될 수 있는가. 3. 제주 주택은 개별성 있는 것으로 전형화 시킬 수 있는가. 4. 이러한 것들을 현대적으로 계승 발전될 수 있을 것인가라는 것이다. 진행 절차는 문제 제기에 의해 본 연구의 논제를 "제주 주택의 생활공간 변화 과정에 관한 것"으로 하였다. 이를 위한 타당성 검토를 한 다음, 문헌에 의한 인문. 사회적 측면과 자연환경 및 풍토적 제주의 특성에 대한 몇 가지 측면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를 고찰하였다. 다음은 문헌과 현지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은 역사적 과정에서 조명해 보는 제주 주택의 평면을 수집하고, 필요한 자료를 선별하여 내.외부 공간의 구성 방식을 전통민가에서 부터 현대주택까지를 조사하였다. 다음은 이러한 조건과 자료들을 중심으로 내.외부의 공간을 분석하였다. 그 내용은 구성된 공간의 유형, 출입방식, 공간의 위계질서, 생활과 공간의 변화 실태를 규명하였다. 특히 각 공간들의 위치를 정하는 데는 어떤 질서가 있지 않은가 하는 접근이다. 이는 진입, 위계성, 그리고 가사노동과 휴식 및 단란 그리고 섭생을 위한 취사를 위한 단위공간과 주생활과 공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다음은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본 분석으로 성별 관계와 가족관계 에서 본 평면 형식의 유형을 분류해 보고져 했다. 이를 위해 먼저, 제주 주택을 규정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과 제주주택의 평면 구법의 원리를 찾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전통민가의 공간구성의 어떤 법칙성을 찾기 위해 선정한 분석의 도구로서 "원리도"의 모델을 만들었다. 이 모델에 의해 제주의 전통 주택의 공간구성은 어떤 질서성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즉 종과 횡의 축, 향과 전 후 좌우축, 우주적 중심성의 원리에 의한 상방중심의 주공간 구성을 하나 의 법칙성으로 했다고 본다. 2. 전통 민가는 남녀의 성별과 가족수 증가에 따라 공간의 분배 및 분화 시켰던 원리이다. 분화는 동일 대지의 마당 공간에 본채에서 시작해서 별동을 축조하는 것으로 발전되어 가는 구성 방식이었다는 것과 3. 선정된 평면에서 본 제주 민가의 구법은 목재나 석재에 의한 것과 기후, 풍토성에 의해 칸수와 외형의 원리를 적용했다는 것과 4. 외부공간의 배치 유형은 소.중.대 규모의 형식에 의해 구성 되었고, 그에 따라 평면의 형상이 몇 타입의 모델에 의해서 이루어 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외부의 주공간 증식은 전면에서 측면으로, 측면에서 측면으로 전이면서 4면의 물리적인 공간 요소로 한정하는 방식으로 외부공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의,식,주
생산연도
1996
저자명
김영식,김영식,김영식
소장처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조회
33
첨부파일
제주 주택의 생활공간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