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 복식의 다름이 조선의 ‘갓’문화에 끼친 영향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의,식,주



한국학 43권 3호

본 연구는 제주의 다양한 모자가 어떻게 조선의 갓문화에 습합될 수 있었는지 그 원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제주의 다양한 모자가 만들어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육지와는 다른 제주만의 생활환경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중에서도 제주 목축업의 발달은 말총이라는 부산물을 이용한 다양한 생활용품을 생산했다. 특히 목자들이 주로 사용한 가죽감티를 비롯해 털벌립, 정동벌립, 대패랭이 등을 만드는 제작기술의 발달과 함께 말총을 이용한 새로운 총모자, 망건의 제작은 조선의 ‘갓’문화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하고 다양한 제주 모자의 특징과 제주의 자연지리적 생활환경에 대해 살펴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시대 제주의 풍토를 기록한 󰡔제주풍토록󰡕, 󰡔제주풍토기󰡕, 󰡔탐라지초본󰡕 등을 통해 제주의 고유복식은 자연지리적 생활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제주의 가죽감티, 털벌립, 정당벌립, 대패랭이 등 다양한 모자와 말의 부산물인 말총으로 만든 총모자, 망건 등은 조선의 갓문화 확산에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제주에서 생산하는 총모자, 양태, 망건 등이 조선의 ‘갓’문화로 쉽게 습합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제주 장인들의 기술력과 모자를 수출입하기에 적당한 항구의 발달이 크게 작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의,식,주
생산연도
2020
저자명
이민주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조회
71
첨부파일
제주 복식의 다름이 조선의 '갓'문화에 끼친 영향_이민주.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