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근대 이후 제주도 건축에 표현된 지역성에 관한 연구: 비 주거건축물을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건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제주도는 지리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특성도 육지와 다르다. 오래전부터 제주도는 「신들의 고향」, 「전설의 고향」, 「민속의 보고」, 「한국의 낙원」, 「당 오백 절 오백」, 「사람은 서울로 말은 제주로」등으로 제주도의 이미지가 대변되어 왔다. 그리고 요즘은 「제주특별자치도」출범과 「국제자유도시특별법」시행 등이 그러한 육지와 다른 특성을 갖는다. 이처럼 지리적 특성은 제주도 건축이 구축되는 과정에 많은 영향을 미쳐왔고, 사회적인 특성은 앞으로 제주도 건축이 구축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제주도가 추구하는 국제자유도시의 정책 내용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개발위주의 계획이 제주의 지역성 결여의 문제점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의 범위를 근대 이후 비 주거건축물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도 지역성의 표현 특성을 찾고 근대 이후 제주도의 비 주거건축을 중심으로 비 주거건축물에 나타난 제주성의 표현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앞으로 건축되는 건축물에 제주성이 살아있는 건축 계획·실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수 있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밝혀낸 제주성은 다음과 같이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배치 방식이다. 배치방식은 다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제주도 전통민가의 배치방식을 차용하거나 재해석하여 배치하는 방법이며 나머지 하나는 제주도의 주변(자연)환경에 순응하여 배치하는 방법이다. 둘째, 개념 해석이다. 개념 해석은 제주의 자연환경이나 관습, 전통민가의 배치방식 등을 모티브로 작가의 상상력 혹은 합리적인 설계 프로세스를 통해 재해석하여 건축적으로 표현한 방법이다. 셋째, 외벽의 특성이다. 외벽의 특성은 외벽의 의장적 표현방법, 특히 재료와 전통민가의 입면 특성을 건축가의 재해석을 통한 표현 방법을 뜻한다. 넷째, 지붕의 특성이다. 지붕의 특성은 지붕의 재료와 지붕이 자연(특히, 비와 바람을 말함.)에 효과적인 대응 형태를 표현한 방법을 뜻한다. 다섯째, 오브제이다. 오브제는 제주도의 전통 상징물들을 통한 건축의 오브제화를 얘기한다. 여섯째, 환경표현이다. 환경표현은 바람에 대한 대응방법이 형태적 공간적으로 어떻게 해석하여 표현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일곱째, 높이이다. 높이는 스케일에 관한 사항으로 가로에 대한 세로의 높이를 얘기한다. 이 사항들을 통해 제주도 건축 문화의 지속 가능한 정체성을 이룰 수 있는 제안이 될 수 있다. 또한 위 사항들이 지역성 요소의 시각적 혹은 직설적 해석 보다는 그 속에 담긴 제주도민의 혼과 정신, 삶의 지혜(본질)를 표현해야 할 것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건축
생산연도
2007
저자명
한동오
소장처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조회
43
첨부파일
근대 이후 제주도 건축에 표현된 지역성에 관한 연구-비 주거건축물을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