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建築史的 측면에서 본 濟州建築의 변화과정에 관한 硏究: 1876년 이후의 近代建築과 現代建築의 전개과정을 中心으로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건축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본 논문은 1890년대 이후 우리 나라의 근대사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제주건축에 나타난 근대적, 현대적 성격을 시대별로 고찰한 것으로서 제주의 근대·현대 건축사라는 가치개념을 통해 제주의 전통건축과 근대·현대 건축과의 단절된 역사의 흐름을 놓고 전통건축의 현대 우리건축으로의 승화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적 자료정리에 중요한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 경제, 정치적으로의 근대화의 정의에 대한 고찰과 우리 나라의 근대화, 현대화 과정에 대하여 비교분석을 함으로서 1876년 이후의 근대건축과 현대건축의 전개과정 및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서론, 본론, 결론, 3부분으로 구분되었다. 서론 부분에 해당하는 제2장은 본 연구의 틀을 정립하는 단계로서 서구의 근대화 및 서구 근대건축이 우리 나라에서의 근대화 및 근대건축에 대하여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한국 근대건축사의 시대별 구분과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제주에서의 시대별 상황과 근대기에서 현대기로 전이되는 시기별 구분과 그 시대의 상황을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서 논의된 시대별 제주 근대건축에 관해 구체적으로 개화기의 제주사회와 제주의 태동기적 근대건축에 대해 일부는 현재 남아있는 부분으로 정리하였고 일부 소실된 건축물은 사진과 문헌상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제주 근대건축의 초기 성격과 이입시기 및 경로를 파악 정리하여 서구 근대건축의 이입으로 말미암아 서양건축을 수용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조선과 제주의 전통건축이 근대건축과 단절되어 가는 원인을 부각시키면서 시대별로 정리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제4장에서는 해방이후 제주의 근대건축에서 현대건축으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진정한 현대건축이 무엇인가를 제시해 줄 동기를 찾기 위해 노력했으며 외세의 간섭에서 벗어난 시점에서 우리 민족이 주체적으로 받아들이고 소화해내고 표출해나가야 될 시점에서 70년대의 제주 현대건축을 전개기로 정의하였으며 80년대를 제주건축의 정책적 추진과 제주 현대건축의 정착기로 정의하였다. 90년대를 제주 현대건축의 향토성, 지역성에 뿌리를 두고, 제주다운 건축적 언어성이 모색되는 모색기로 정의하여 지역적 소재와 현대건축이 서로 상호 보완하여 우리의 것 즉 우리의 건축을 찾아 나섬으로서 건축이 지역사회와 교감이 되는 진정한 건축의 목적을 찾는 미래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개항 이후 당시의 건축물들이 오늘날 경제적 성장에 따른 지역의 변화 가운데서 그 원형을 잃고 있으며 하나 둘 철거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근대 건축물들이 몇년안에 없어지게 될 형편에 놓여 있음은 어절 수 없는 오늘날의 현실로서 나타나고 있다. 이제 남아있는 당시의 근대건축에 대한 관심과 올바른 인식을 갖고 과거와 미래를 생각해 보아야 할 때가 왔다고 하겠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건축
생산연도
1999
저자명
김정훈
소장처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28
첨부파일
建築史的 측면에서 본 濟州建築의 변화과정에 관한 硏究 -1876년 이후의 近代建築과 現代建築의 전개과정을 中心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