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1920-1960년대 濟州市 都市住宅의 類型 및 變遷에 關한 硏究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건축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본 연구는 1920년대에서 1960년대 사이에 나타나는 제주시 도시주택의 유형 및 변천을 고찰한 것이다. 도시주택은 제주도 전통민가의 연장선에서 나타나는 평면형태로써, 그것이 변화·발전되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1. 외부공간 및 배치유형대문은 경계물의 역할과 방범, 출입제한 등의 기능 그리고 상징적, 심리적 보호물의 역할도 하고 있다. 마당공간은 공간의 축소로 통로나 넓은 옥외공간으로써의 기능을 하며, 우영은 마당의 한쪽이나 정원에 부속되어 배치되고 있다. 화장실은 통시의 형태와 대문에 부속되는 형태 그리고 별도로 짓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화장실을 신축할 때는 원래의 자리에 짓는 경우가 많다. 건물 배면에 작은 뒷마당이 설정되는데 이것은 1960년대가 되면 사라지고 있다.도시주택의 배치유형은 두거리형(複陳型)과 외거리형(單陳型)으로 나눌 수 있는데, 안채 좌향은 대체로 남향이 많으며 북향도 다수 나타나고 있다. 진입로는 대부분 4M미만의 보행자전용도로로써 막다른 도로나 통과도로의 형식을 취하며, 가지형 도로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두거리형(複陳型)의 진입방향은 남향과 북향이 가장 많으며, 이때 안채 좌향은 남향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외거리형(單陳型)의 진입방향은 동향과 서향이 가장 많고, 이때 안채 좌향은 주로 서향과 남향을 하고 있다. 대문은 살림채와 ㄱ자나 二자의 배치형태를 하고 있으며, 직접 살림채 내부로 시선이 향하지 않게 배치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2. 평면유형도시주택은 가사공간 분리형과 가사공간 조합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별동정지 형과 외래형이 특수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가사공간 조합형이 가장 많은 수로 나타나고 있다. 가사공간 분리형은 안방+고팡 분리형과 안방분리형으로 세분된다. 가사공간 조합형은 안방, 부엌, 고팡, 찻방이 하나의 가사노동공간을 형성하는 유형이며, 세 대별 공간분화를 보이고 있다. 가사공간 조합형은 가사노동공간의 조합형태에 따라 안방+부엌+고팡+찻방 형, 안방+부엌+찻방 형, 안방+부엌+고팡 형, 안방+부엌 형으로 나눌 수 있다. 특수형 중 별동부엌형은 전통민가의 딴정지형이 유형적으로 지속된 형이며, 외래형은 전통적 공간 구성을 보이지 않는 평면형이다.도시주택은 3칸형과 4칸형으로 나타나며, 4칸형이 주를 이루며 나타나고 있다.3. 평면형태一 자형은 돌출없이 一자형의 평면형태를 유지하는 형이고 지붕은 一자형의 모임지붕으로 나타나고 있다. 一자+부분 돌출형은 부분적으로 돌출된 형을 말하며, 부분 돌출은 주로 고팡과 찻방에서 일어나고 있다. 지붕은 모임지붕으로써, 고팡, 찻방, 부엌이 돌출될 때는 一자형이며 작은방이 돌출될 때는 ㄱ자로 꺽이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건축
생산연도
1999
저자명
김형남
소장처
명지대학교 도서관
조회
33
첨부파일
1920-1960년대 濟州市 都市住宅의 類型 및 變遷에 關한 硏究.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