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상가 사인시스템(sign-system) 디자인 연구: 제주시 지하상가를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건축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제주시 원도심은 1980-90년대 이후 상권이동과 도시 주변 지역의 도시개발사업 및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인해 도심 기능의 외연적 확산 및 상주인구 감소 등 도심의 주거 기능화 경제활동이 위축되어 인구의 공동화, 기반시설의 노후 등 도심 공동화가 가속화되었다. 주변 지역의 개발사업은 기존도심으로부터 주요 도심 기능을 이전받고, 이 과 정에서 기존 원도심은 쇠퇴하는데 도심의 지하상가도 동반 쇠퇴하는 과정을 겪으며 이용자들의 발길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많은 사람이 쉽게 이용하게 하고 그러면 상권이 활성화되고, 상권이 활성화되 면 또 사람이 모이는 선순환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도심재생 및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지하상가가 도심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 는 공간을 창출하고, 상권을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많은 이용객이 편리하고 유용하게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나의 통일된 사인시스 템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상가의 활성화 방안 중 사인시스템(sign-system)의 중요한 역할을 찾고 시각적 혼란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하상가의 웨이파인딩 (wayfinding) 역할을 재검토하여 누구나 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쾌적하고 효 율적인 사인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목적, 방법, 범위를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사인시스템 디자인 요소와 종류, 지하상가의 개념과 특성, 문제점 에 대한 기존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다른 지역 사례보고 : 웨이파인딩(wayfinding)의 성공적인 사례 를 알아보고 사인시스템 현황 파악을 위해 사례 조사 및 분석, 정리하였다. 연 구 대상지의 안내·유도 사인시스템의 시각적인 요소를 분석한 결과 현재의 공간을 쉽게 인지하는 데 있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 째 사인시스템은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가이드맵을 통해 공간 인지의 효율성을 높임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명료성이 높은 사 인의 요소를 통해 명확한 사인시스템이 구성되어 시각적인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었다. 세 번째, 공간과의 조화를 고려한 사인시스템의 색채는 일관성 있 게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연속성을 주어 공간을 인지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네 번째, 이용자 중심의 관점에서 사인을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디자인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뛰어난 사인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 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현재 원도심의 현황과 문제점을 설명하고 제주시 지하상가의 상 가 사인시스템 사례연구를 통해 지하상가를 목적지 또는 쇼핑의 목적으로 하 는 이용자의 길찾기 과정을 확인해보고, 현재의 사인시스템 영향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건축
생산연도
2016
저자명
송호림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24
첨부파일
상가 사인시스템(sign-system) 디자인 연구 - 제주시 지하상가를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