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도시 단독주택의 주거 평면형태와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1960~80년대 서울, 대구, 제주지역의 도시단독주택을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건축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우리나라는 60년대 이후 근대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해방과 전쟁의 혼란을 겪고난 우리 사회는 근대화가 시작되면서 경제적으로는 농경 위주의 생활에서 벗어나 공업위주의 대량생산, 대량소비 경제로 바뀌게 되면서 근대화와 도시화가 확대되고 우리의 주거는 급속한 변화를 나타낸다. 전통적 민가에서 출발하여 현재의 다세대주택에 이르기 까지 우리의 도시주택은 다양한 변화 요인들에 의해 여러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이러한 우리나라 주거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많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주거의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유형적으로 분류하여 여기서 발견되는 특징을 여러 가지 분석의 틀로 설명하는 방식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외관이나 평면형태의 유사성을 근거로 유형적인 방법을 통해 분류하거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평균값이나 빈도와 기초적 인 통계를 바탕으로 파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주거의 전체적 형태나 인접공간의 위치변화를 파악할 수는 있으나 주거의 유사한 평면에서 각 실의 연결관계에 따른 각 실의 관계나 평면의 구조의 차이 등을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거평면의 형태적 특성과 각 실의 관계 및 성격을 수치화를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각 지역의 주거평면형태의 변화와 각 실의 특성변화 과정을 밝히려고 한다. 즉 각 실의 관계와 공간의 개방성, 기능적 집중여부, 타 공간과의 관계 등을 감마분석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수치를 통해 확인하고 여기서 발견되는 변화를 분석하여 각 지역별 주거평면의 공간구성 특성과 내적인 구조체계의 변화로 해석한다. 감마분석에서 얻을 수 있는 동일한 분석항목을 가지고 서로 다른 지역과 시대의 주거평면들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그 속에서 발견되는 유사성과 차이점을 통해 각 지역별 주거평면의 대표적 경향과 공간의 특성을 보다 분명하게 밝힐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60년대 이후 서울, 대구, 제주의 주거평면을 대상으로 주거의 물리적 형태와 각 공간의 구성특성과 변천을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중의 하나인 감마분석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1장은 연구배경과 목적, 대상 및 범위를 밝히고 기존 연구사를 정리하였다. 2장은 연구방법론의 연구로 감마분석의 이론적 고찰과 감마분석을 이용한 도면의 해석과 분석과정을 살펴보고 특징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3장은 지역별 주거의 형태와 공간의 관계를 지역별 주거의 평면의 분석과 시기별 평면형태의 변화과정과 이에 따른 공간의 변화관계를 분석하였다. 4장은 각 실별 공간의 분석을 평균깊이와 집중치, 순환고리를 통해서 각 공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5장은 각 장의 분석내용을 정리하고 종합하여 결론을 정리하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건축
생산연도
2003
저자명
김창현
소장처
명지대학교 도서관
조회
30
첨부파일
도시단독주택의 주거평면형태와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1960-80년대 서울, 대구, 제주지역의 도시단독주택을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