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 전통민가의 공간배치를 통해 본 제주도민의 종교심에 관한 연구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건축



주거형태의 구성은 단순히 물리적 현상에만 국한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가족관계와 사회구조 그리고 신화와 종교 등 모든 사회․문화적 요인들이 작용해서 이루어진다. 특히전통민가는 시간적 공간적으로 그 사회의 저변을 형성하던 민초들의 생활양식을 반영하는 주거형태이므로 당시의 문화현상을 잘 보여준다.

제주전통민가의 공간배치는 제주신화의 의미구조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신화나 설화의내용을 바탕으로 제주만의 독특한 민간신앙을 형성하였으며, 전통민가의 공간배치 속에서 민간신앙을 통한 신과 인간의 관계맺음을 추구하였기 때문이다. 제주전통민가 내에서 거주하는사람은 주거 공간으로서 민가라는 공간에 거주하는 거주인일 뿐만 아니라 신화와 신앙 속에살아가는 신앙인으로서 공간성과 신앙심 사이에서 소통자로서의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제주전통민가에 종교적 의미부여가 강하게 나타나는 현상은 제주전통민가가 가지는 특징으로서, 내륙지방의 전통주택이 임원경제지나 택리지 등의 조영원리나 성리학의 규범에 따라공간구성이 이루어지는 것과 차이를 보인다. 공간조영원리보다는 신화와 민간신앙이라는 의미구조에 따라 공간이 구성된다는 점에서 제주만의 독자성을 발견할 수 있다.

신화는 인간으로서 겪는 곤경에서 헤어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며, 어떠한 삶을 살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안내자와 같은 역할을 한다. 현대인들이 원하는 ‘치유’에 가장 적합한 것이 ‘신화’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주전통민가에서 발견되는 신화적 요소와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이 인간과 소통하며 유기적 관계 속에 있다는 것을설명하는 작업은 문화의 보고로서 제주도가 가지고 있는 인문학적 토양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건축
생산연도
2016
저자명
김영주
소장처
KCI
조회
51
첨부파일
제주전통민가의 공간배치를 통해 본 제주도민의 종교심에 관한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