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국내 제주도에서 수집된 Propolis의 특성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농축업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국내 제주도에서 수집된 Propolis의 특성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Propolis Collected on Jeju Island, Korea 식품과학과 최 수 진 지도교수 안 목 련 본 연구는 국내 제주도에서 수집된 propolis의 수집된 지역별 특성과 항산화, 항균 및 항곰팡이 활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제주도에서 수집된 propolis의 페놀성 화합물(polyphenol compounds)은 59.7∼126.8 mg/g of EEP로 북제주 노형(J2)에서 수집된 propolis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북제주 한림(J5)에서 수집된 propolis가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에서 수집된 propolis의 총 flavonoid 함량은 42.1∼108.8 mg/g of EEP로 남제주 표선(J4)에서 수집된 propolis가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북제주 애월(J1)에서 수집된 propolis가 가장 높은 총 flavonoid 함량을 나타내었다. High performance thin-layer chromatography(HPTLC) gel 상에서 제주도산 propolis의 구성성분 pattern을 분석한 결과 남제주 표선(J4)에서 수집된 propolis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 수집된 propolis(J1∼J3, J5, J6)는 비슷한 양상의 band pattern을 나타내었으며, 다소 미약한 band가 확인되었으나 구성성분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남제주 표선(J4) 수집된 propolis는 다른 지역에서 수집된 propolis와 상이한 band pattern을 나타내었다. β-Carotene 퇴색을 이용한 제주도에서 수집된 propolis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북제주 노형(J2)에서 수집된 propolis가 25.4%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북제주 한림(J5)에서 수집된 propolis가 8.6%로 가장 낮은 antioxidant activity를 나타내었다.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이용하여 측정한 제주도산 propolis의 항산화 능력은 북제주 노형(J2)에서 수집된 propolis가 26.7%로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비슷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남제주 표선(J4)에서 수집된 propolis가 6.2%로 가장 낮은 DPPH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를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cation-scavenging activity 측정 결과 또한 북제주 노형(J2)에서 수집된 propolis가 47.2%로 BHT와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농축업
생산연도
2012
저자명
최수진
소장처
동아대학교 도서관
조회
20
첨부파일
국내 제주도에서 수집된 Propolis의 특성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