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근해의 옥돔어업과 어장 환경에 관한 연구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수산업



우리나라 옥돔의 주생산지인 제주 주변해역에서 어획된 옥돔의 생산량과 이에 관련된 해양환경을 1996년부터 2000년 사이의 통계자료와 직접 관측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제주의 옥돔 어획량은 1996년에는 약 2,300M/T을 나타내어 최대 어획량을 기록하였으며, 그 이후로 약간씩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고, 1999년부터 2000년까지는 약 1,700M/T 정도의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옥돔의 생산량은 4월에서 6월 사이에 많으며, 8월이 가장 적고, 가을과 겨울에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옥돔의 주어장은 32.5°N, 125.7°E를 중심으로 반경 60마일의 해역이며, 저층 수온은 계절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고, 13-16°C 정도이며, 염분의 분포는 년중 34.0-34.5psu 정도로서 거의 변화가 없다. 저층 영양염의 분포는 계절에 따라 변화하며, 봄과 여름에 질산염과 아질산염은 고농도를 보이나, 인산염은 저농도를 보인다. 식물성플랑크톤인 엽록소 a의 양은 봄과 여름에 표층에서 대증식을 일으키며, 수직적인 구조가 매우 불안정하나, 저층에서는 계절에 관계없이 안정되어 있으며, 겨울과 봄이 여름과 가을에 비해 다소 많은 양을 보인다. 동물성 플랑크톤의 수직적 분포는 여름과 가을에는 대체로 안정된 수직적 분포를 보이나, 봄에는 수심 50m 정도에서 증식이 이루어지고, 겨울에는 저층에서 개체수가 많다.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 옥돔의 주생산지인 제주 주변해역에서 옥돔의 생산과 이에 관련된 해양학적 특성을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옥돔의 생산량과 수온, 염분 및 영양염은 연계가 되었으나, 식물성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의 영향은 명백히 밝히지 못하였다. 그것은 옥돔에 관한 자료가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연구기간을 한정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앞으로 옥돔과 해양학적인 특성을 연계한 더 많은 실험을 축적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수산업
생산연도
2006
저자명
김정창 외
소장처
KCI
조회
17
첨부파일
제주도 근해의 옥돔어업과 어장 환경에 관한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