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인공어초 개발 및 효과조사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수산업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간 인공어초 개발과정에서 필요한 (1) 인공어초의 활동, 전도에 대한 안정성 조사, (2) 개발된 인공어초에 대한 효과조사, (3) 인공어초의 규모별 효과, (4) 인공어초의 재질별 효과를 각각 수행하였다. 인공어초의 활동, 전도에 대한 안정성 조사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굴패각어초와 다기능어초에 대해 활동, 전도 등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외부 유체력 등 각 인자를 달리하여 적정 중량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인공어초의 효과조사는 동해안에서 요철형, 뿔삼각형, 잠보형, 사각형, 신요철형, 세라믹어초 등 6종, 서해안에서 대형전주어초, 사각형, 잠보형어초, 강제어초 4종의 어초에 대해 삼중자망을 이용하여 어획효과를 조사하였다. 남해안에서는 인공어초의 규모를 400, 800, 1,600, 2,400 m $^3$ 등으로 각각 달리하여 그의 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제주해역에서는 일반콘크리트와 다공질콘크리트 등 인공어초의 재질을 달리하여 각각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인공어초의 활동, 전도에 대한 안정성은 시설 예정해역의 파랑과 흐름 등 외부 유체력을 알면, 어초 부재의 단면적과 중량을 조절함으로서 활동과 전도에 대한 안정값을 확보할 수 았음이 확인되었다. 개발된 인공어초에 대한 효과조사는 동해안의 경우, 요철형, 뿔삼각형, 잠보형, 사각형, 신요철형, 세라믹어초 등 6종 중 사각형어초가 조사기간 동안 어획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서해안의 경우, 사용된 어초 간에 효과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남해안에서 실시한 인공어초의 규모별 효과의 경우, 400, 800, 1,600, 2,400 m $^3$ 중에서 1,600 m $^3$ 의 것이 어획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제주해역에서의 일반콘크리트와 다공질콘크리트 등 인공어초의 재질별 해조조성 효과는 표면적이 넓은 다공질 콘크리트에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유형
보고서
학문분야
기술과학 > 수산업
생산연도
2009
저자명
이정우
소장처
국립수산과학원
조회
18
첨부파일
인공어초 개발 및 효과조사.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