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숯 제조 재현과정과 현재적 의미 탐구 -제주지역의 곰숯 제조를 사례로-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산업



  본 연구는 1960년대까지 제주도 서부지역의 중산간 마을에서 행해지던 곰숯가마에서의 숯 제조과정을 재현함으로써 일련의 공정과 특징을 단계별로 정리하고, 동시에 현재적 시점에서 곰숯 제조에 함축된 의미를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진행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로, 곰숯은 1960년대 초까지 제주도 서부지역의 중산간 마을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만들어지던 숯의 한 종류로서, 곰숯을 제조하는 곰숯 가마는 비교적 규모가 작고 여성들도 손쉽게 축조하여 숯을 제조할 수 있는 숯가마로 평가된다. 둘째로, 곰숯 가마의 축조를 통해 재현한 곰숯 제조과정은 크게 사전 준비 과정과 본격적인 숯 제조과정으로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사전 준비 과정은 도구 및 재료(숯 재료, 귀밀) 챙기기, 숯가마 터 선정과 땅고르기, 숯 재료 운반 및 확보 등이 중심이며, 본격적인 숯 제조과정은 숯 재료 쌓기와 곰숯 가마 축조-불 때기, 아궁이 차단 및 배연구 차단- 곰숯 가마 해체 및 숯 꺼내기 순으로 행해졌다.

  이어서 곰숯 제조의 재현에 함축된 현재적 의미는 세 가지 관점에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곰숯 제조의 재현을 통한 생활문화 자료의 구체성 확보와 관련해서는 제주 전통사회에서 행해지던 숯 제조과정에 대한 단계별 공정의 복원을 통해 과거 제주지역의 경제활동과 생활문화와 관련된 지역자료를 구체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곰숯 제조의 재현을 통한 선조들의 지혜 찾기와 관련해서는 제주 선조들의 자연자원 이용방식은 물론이고 숯 제조를 통한 가정 경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지혜를 후세대들의 현대적인 삶 속에서도 터득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문화 지리학적 관점에서 보는 숯 제조 재현의 함의와 관련해서는 과거 선조들의 생활문화의 복원을 통해 제주문화의 지역성과 특수성을 이해하는데 소중한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산업
생산연도
2016
저자명
정광중
소장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조회
31
첨부파일
숯 제조 재현과정과 현재적 의미 탐구;제주지역의 곰숯 제조를 사례로_정광중.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