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솔비나무, 감태 등의 제주식물들로 부터 기능성화장품 소재 개발 연구

분야별정보 > 기술과학 > 산업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생물종이 분포하고 있는 제주도내에 자생 식물들을 대상으로 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과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백 활성, 주름개선 활성,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검색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에 대하여 경향성을 정리하여 보았다. 또한 활성이 좋았던 식물들을 대상으로 하여 유효성분 분리를 실시하였다.제주 자생식물들의 70% ethanol과 hexane, ethyl acetate, buthanol, water을 용매로 하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을 제조하였고, 이들을 이용하여 활성 검색을 하였다. 그 결과, 총 62개 과(family), 136종(species), 272 가지(part used)에 대하여 실시되었고, tyrosinase 저해 활성의 IC_(50)값이 150 ㎍/mL이하의 값을 갖는 시료의 개수는 41개, elastase 저해 활성의 IC_(50)값이 50 ㎍/mL이하의 값을 갖는 시료의 개수는 75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의 RC50값이 10 ㎍/mL이하의 값을 갖는 시료의 개수는 56개로 나타났다.미백 활성이 좋았던 솔비나무(Maackia fauriei) 가지를 가지고 유효성분 분리를 하였고, 그 결과 9개의 flavonoid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각각 Tectorigenin, Genistein, Afromosin, Formononetin, Daiazein, 7-O-meth oxyafromosin, Texasin, Mirkoin, Odoratin 으로 구조 동정되었다. 이 중 Tectorigenin, Daiazein, 7-O-methoxyafromosin, Texasin, Mirkoin, Odoratin은 솔비나무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들이다. 분리된 화합물들에 대하여 미백 활성 검색을 한 결과, Mirkoin, Tectorigenin, Genistein, Daiazein 순으로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이는 구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mirkoin의 경우는 기질인 tyrosine과 경쟁적으로 저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해조류인 감태(Ecklonia cava)로부터 7개의 phlorotannin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각각 Phloroglucinol, Phlorotannin A, Eckol, Triphlorethol A, Fucodiohlorethol E, Phlorofucofucoeckol, Dieckol로 동정되었다. 특히 dieckol에 대하여는 재결정에 의한 새로운 분리 방법을 확립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미백 활성 및 주름개선 활성에 대하여 검색을 한 결과, 미백 활성에서는 Eckol, hlorofucofucoeckol, Dieckol이 높은 활성을 보였고, 주름개선 활성에서는 Phlorofucofucoeckol, Dieckol이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기술과학 > 산업
생산연도
2009
저자명
김정미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22
첨부파일
솔비나무, 감태 등의 제주식물들로 부터 기능성화장품 소재 개발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