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방아질소리(성읍)

분야별정보 > 예술 > 음악



남방에는 나무 방아라는 뜻이다. 그 직경이 무려 120cm 정도가 되며 느티나무의 통나무를 파서 만든다. 제기 그릇 모양과 비슷하며 본토의 절구와는 그 모양이 다르다. 방엣귀는 절구공이인데 그것을 가지고 찧는 사람의 수에 따라서 두 사람인 경우 두콜방에, 세 사람이면 싀콜방에이다. 세사람이 찧을 경우 박자가 잘 맞아서 작업이 진행될 때는 "새맞는다"라고 하고 그것이 맞지 않을 때는 "새글른다"라고 한다. 민요는 대부분 노동의 기능과 더불어 불러지고 있는데 노동의 기능을 띤 노동요라고 할지라도, 기능성보다는 개인적인 삶을 표출하거나 개인의 정서를 노래하는 편이 문학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맷돌·방아노래>는 정서 표출이 강한 서정적인 것으로 이는 작업적인 특성에 기인한다. 곧 첫째, 일하는 장소가 고정이며 방아 찧는 일이 균형잡힌 일이며 혼자나 두셋 인원이 일하는 것이어서 침잠하게 가라앉은 상태에서 일할 수 있어서 마음이 안정되고, 마지막으로 작업하는 시간이 길고 작업을 자주 했다는 점과 같은 노동의 기능성에 주목된다.

가사)

이여 이여 이여도 허라

이여 이여 이여도 허라

이여 방에 고들베 지영

저냑이나 ᄇᆞᆰ은 때 허게

이여 이여 이여도 허라

내일 장성 어둡는 지기

오늘이옝 ᄇᆞᆰ은 때 ᄒᆞ를

이여 이여 이여도 허라

유형
음성
학문분야
예술 > 음악
생산연도
2014
저자명
이미생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37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