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서우제소리

분야별정보 > 예술 > 음악



서우제 소리는 제주도 무속음악에서 비롯된 민요이다. 본래 이 민요는 제주도 무가(巫歌)이지만, 일반인들에게 널리 퍼지게 됨으로써, 김을 매거나 바다 일을 할 때, 여흥을 즐길 때, 또는 그 밖의 일을 할 때 이 민요를 자유롭게 부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래는 영등굿 등의 무속에서 불렀던 무가이기 때문에 그 사설이 영등굿과 관련된 것이 많으나, 다른 활동에 전이되어 부르는 서우제소리는 그 사설도 다양하게 바뀌고 풍성하게 되었다. 이명숙 명창은 다른 활동에 전이된 사설에 의한 서우제소리나 원래의 영등굿에 나오는 사설에 의한 서우제소리를 모두 잘 소화하고 있다. 이 음반엔 실린 서우제 소리는 영등굿과 관련된 서우제소리이다. 가사) <긴서우제소리> (후렴) 아~ 아~ 아~ 양~, 어어양~ 어허요~ 어기여차 소리로 산도 넘고 물도 넘엉 옵네다 (후렴) 낮도 영천으로 놀고들 갑서 밤도 영천으로 놀당덜 갑서 (후렴) 진바당은 진소리로 쪼른 바당은 닻 감기로 (후렴) 제주 앞 바당 그물코 소리가 코코마다 맺은 사랑이여 (후렴) 동해 요왕은 청요왕이요 서해요왕은 백요왕이요 (후렴) 남해 요왕도 청요황이요 북해요왕은 흑요왕일러라 (후렴) 상불턱은 중불턱이요 하불턱에 놀던 서낭 (후렴) 한라 영산은 장군서낭 선흘곳은 애기씨 서낭이여 (후렴) 세미곶은 도령 서낭 대정곳은 영감의 서낭이요 (후렴) 완도 가면 덕판 서냥 육지 청산은 장대 서냥이여 (후렴) 산 차지는 산신대왕 물 차지는 다수 용궁 (후렴) 절 차지는 서산 대서 육한대서님도 놀고 갑써 (후렴) 한라산으로 내리는 물은 일천 낭썹 다 썩는 물이더라 (후렴) 산지축항으로 내리는 물은 일천 배닺줄 다 썩는 물이여 (후렴) 붓대 잡고 글 잘 씌는 건 서울 선비 놀음꾼이여 (후렴) 잠대 잡고 밧 잘 가는 건 농부 애비 놀음놀이여 (후렴) 멩지 바당 실보름 부는 건 선도 사공 놀음놀이여 (후렴) <자진 서우제 소리> 한라 영산에 놀던 산신이여 (후렴) 아 아 양 어어양 어어요 아흔아홉 골머리 놀던 산신이여 (후렴) 오백장군 물장오리 놀던 산신이여 (후렴) 태백장군 한라영산 놀던 서낭이여 (후렴) 외돌개에 서돌개에 놀던 산신이여 (후렴) 서천국에 이루었던 산신이여 (후렴) 볼래낭 남밧디 가시왓디 놀던 산신이여 (후렴) 장포수여 서포수에 놀던 산신이여 (후렴)
유형
음성
학문분야
예술 > 음악
생산연도
2008
저자명
제주농요보존회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47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