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김매는 자진사대소리

분야별정보 > 예술 > 음악



검질은 밭에 나는 잡초를 뜻하는 표준어 ‘김’의 제주어이다. 여름 뙤약볕 아래에서 김을 맨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주로 여성들이 하지만, 남성들도 같이 하는 지역도 있다. 그래서 여성 노동요에 속하나 남성들도 부를 줄 아는 사람이 많다. 검질매는 소리는 ‘사대’, ‘아외기’라고 하고, 각 지역마다 부르는 노래도 다양하다. 제주 전역에 ‘사대’라고 불리며, 장단의 길이에 따라서 느리게 부르는 ‘진사디’, ‘조른사디’, 추임새가 있는 ‘추침사대’, 하루가 끝날 때 부르는 ‘막바지사대’가 있다. 특이하게도 남원읍 하례리에서는 ‘더럼소리’를 부르기도 하고 성산이나 구좌, 표선에는 주로 ‘아외기’, ‘홍애기’라고 하는데, 특히 무가의 ‘서우제소리’의 곡을 차용하여 노래하는 경우를 ‘아외기’라고 한다.

 

<가사>

검질짓고 골너븐밧듸 (후렴)어여나여 산이로구나

소리로구나 우경가게 (후렴)

산천초목 새속잎난디 (후렴)

우기엉가게 반갑도다 (후렴)

인간선제 지들린줄을 (후렴)

언제나하영 먹을것산디 (후렴)

선제비영 애덜롭구나 (후렴)

산천 초목 새속잎난디 (후렴)

구경가게 즐겁구나 (후렴)

한소레랑 궃으나망정 (후렴)

두소레랑 실한사람 (후렴)

조께사름 보기나좋게 (후렴)

먼데사람 듣기나좋게 (후렴)

전에는 멀리 어디나 산지 (후렴)

유형
음성
학문분야
예술 > 음악
생산연도
2007
저자명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조회
48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