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김매는아외기소리

분야별정보 > 예술 > 음악



검질은 밭에 나는 잡초를 뜻하는 표준어 ‘김’의 제주어이다. 여름 뙤약볕 아래에서 김을 맨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주로 여성들이 하지만, 남성들도 같이 하는 지역도 있다. 그래서 여성 노동요에 속하나 남성들도 부를 줄 아는 사람이 많다. 검질매는 소리는 ‘사대’, ‘아외기’라고 하고, 각 지역마다 부르는 노래도 다양하다. 제주 전역에 ‘사대’라고 불리며, 장단의 길이에 따라서 느리게 부르는 ‘진사디’, ‘조른사디’, 추임새가 있는 ‘추침사대’, 하루가 끝날 때 부르는 ‘막바지사대’가 있다. 특이하게도 남원읍 하례리에서는 ‘더럼소리’를 부르기도 하고 성산이나 구좌, 표선에는 주로 ‘아외기’, ‘홍애기’라고 하는데, 특히 무가의 ‘서우제소리’의 곡을 차용하여 노래하는 경우를 ‘아외기’라고 한다.

 

<가사>

검질짓고 골너른이밧인디 (후렴)아~양 에양 에헤요

앞멍에랑 드러나오라 (후렴)

뒷멍에랑 나고나가라 (후렴)

앞의황금 나고나가는다 (후렴)

저언제 집에가건 씨암탉 걸음이여 (후렴)

추워도 부는구나 한착남은 비영개로다 (후렴)

미련코 부는구나 연북풍이로다 (후렴)

어헤야 뒤헤야 벙에로구나 (후렴)

유형
음성
학문분야
예술 > 음악
생산연도
2007
저자명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조회
43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