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김매는아외기소리

분야별정보 > 예술 > 음악



검질은 밭에 나는 잡초를 뜻하는 표준어 ‘김’의 제주어이다. 여름 뙤약볕 아래에서 김을 맨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주로 여성들이 하지만, 남성들도 같이 하는 지역도 있다. 그래서 여성 노동요에 속하나 남성들도 부를 줄 아는 사람이 많다. 검질매는 소리는 ‘사대’, ‘아외기’라고 하고, 각 지역마다 부르는 노래도 다양하다. 제주 전역에 ‘사대’라고 불리며, 장단의 길이에 따라서 느리게 부르는 ‘진사디’, ‘조른사디’, 추임새가 있는 ‘추침사대’, 하루가 끝날 때 부르는 ‘막바지사대’가 있다. 특이하게도 남원읍 하례리에서는 ‘더럼소리’를 부르기도 하고 성산이나 구좌, 표선에는 주로 ‘아외기’, ‘홍애기’라고 하는데, 특히 무가의 ‘서우제소리’의 곡을 차용하여 노래하는 경우를 ‘아외기’라고 한다.

 

<가사>

아아양 어양어요 (후렴)아아양 어양어요

어허넝창 방아로고나 (후렴)

매콥곹은 골각지로 (후렴)

한동곹은 폴따지로 (후렴)

동설곹은 주먹으로 (후렴)

벙에눈을 부릅뜨멍 (후렴)

앞멍에랑 드러나오라 (후렴)

뒷멍에랑 터져나나라(좋다)  (후렴)

굴너른 요밧듸 소리로나 우기엉간다 (후렴)

어야두허야 방하로고나 (후렴)

새별타다가 줌치를주울까 (후렴)

해는따당 줌치를 줍고 (후렴)

별은따당 바대를 놓고 (후렴)

새별로랑 댕칭을 놓고 (후렴)

안개로랑 안을 다놓고 (후렴)

항고지로 바위를 돌랑 (후렴)

시렁베로 끈을달고 (후렴)

서대문을 걸어나두고 (후렴)

동대문에 안저나둠서 (후렴)

올라가는 선비님네 (후렴)

노려오는 아줌님네 (후렴)

요줌치를 사고나갑서 (후렴)

줌치러사 곱주마는 (후렴)

값이읏언 못이나산다 (후렴)

값이간덜사 얼마나가리 (후렴)

천값이나 육백냥이여 (후렴)

유형
음성
학문분야
예술 > 음악
생산연도
2007
저자명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조회
54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