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토속민요의 선율 양상 연구

분야별정보 > 예술 > 음악



우리나라의 민요를 구분할 때 보통 경기민요, 서도민요, 남도민요, 동부민요, 그리고 제주도민요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러나 제주도 민요 특유의 음악적 특징을 명확히 가려내지 못하는 까닭에, 민요의 음악적 특징을 말할 때는 제주도 민요의 음악 양식을 나타내는 용어가 없이, 경토리, 수심가토리, 육자배기토리, 메나리토리로만 설명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토속민요에서 나타나는 선율 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펴 그 특징을 밝히고, 나아가 제주 토리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으로, 먼저 제주도에서 넓은 공감대를 확보하고 있으면서, 비교적 규칙적인 장단 형태를 지닌 제주도 토속민요를 대상으로 연행 배경과 사설 구조를 살펴보고, 음구성과 선율 구조, 시김새를 분석하여 보았다. 이를 통해 제주도 토속민요의 특징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토속민요의 음구성은 주로 ① Do-Re-Mi-Sol-La, ② Sol-La -Do-Re-Mi, ③ Re-Mi-Sol-La-do 로 나타난다. 특히 ①과 ②의 경우, 제3음의 반음 변화(Do-Re-Fa-Sol-LA = Sol-La-Do-Re-Mi 또는 Do-Re-Mi-Sol-La = Sol-La-Si-Re-Mi)를 통해 쉽게 넘나들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 선율 구조의 단락을 반으로 나누어 앞과 뒤로 살펴보면, 앞에서는 높은 음으로 첫음을 시작하여 종지음보다 높은 음으로 하행하며 제1하행선율을 만들고, 이어 살짝 음을 들어 올렸다가 종지음으로 하행하며 반종지하는 제2하행선율을 만든다. 뒤에서는 대체로 평평하게 진행하다가 마지막 종지선율에서 종지음으로 순차 하행한다. 이 때 박의 끝까지 길게 동도 종지하는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셋째, 시김새는 목을 포함하여 잔가락의 형태로 나타나는 게 일반적인데, 제1하행선율과 제2하행선율을 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유형으로는 하행형과 상하행형, 두 가지로 나타난다. 이러한 시김새는 선율의 율동감과 더불어 제주도 토속민요 특유의 음악적 미감을 부여한다. 가창에 있어서는 음을 격하게 떠는 것 없이 담담하게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넷째, 가창방식은 주로 메기고 받는 형식 또는 교환창의 방식이 활용된다. 메기고 받는 형식이 교환창에 비해 사설과 선율의 고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다섯째, 한배는 대체로 느리게 나타나며, 노래가 불리는 음역대는 좁고 또한 낮은 편이다. 본 연구를 발판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제주도 민요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학술적으로 제주 토리라는 범주를 확립함으로써, 민요 토리 연구의 범위를 확대해 나가는 일이 필요하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예술 > 음악
생산연도
2010
저자명
오남훈
소장처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조회
28
첨부파일
제주도 토속민요의 선율 양상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