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濟州道 성주풀이의 構成 및 長短의 硏究

분야별정보 > 예술 > 음악



本 硏究는 濟州道의 여러 巫俗 中 濟州道 全域에서 家屋을 新築하였을때 수시로 행하여지고 있는 '성주풀이'라는 굿에 대하여 그 構成 및 長短을 중심으로 몇가지 特徵的 要素를 살펴보는 것을 目的으로 하였다.本 硏究를 爲하여 3回에 걸친 現場資料調査를 實施하였고, 아울러 韓國文化藝術振輿院 資料館에 비치되어 있는 성주풀이의 VIDEO TAPE를 參考資料로 하였다.성주풀이의 祭次에 따라 크게 6部分으로 나누었고, 그 6부분에 대하여 다시 상세히 나누어 그 過程에서 나타나는 성주풀이의 構成과 長短의 쓰임, 그리고 陸地와의 地理的인 與件으로 因한 濟州道地方 固有의 音樂用語, 他地方과 비교한 악기의 쓰임등에 대하여 알아 보았다.그 結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1. 성주풀이에서 使用된 樂器는 打樂器로 장구, 설쉐, 징, 북이며 이는 東部地方과 西道地方의 樂器編成과 類似하다.2. 수심방의 巫舞 혹은 行爲時에는 3樂器(설쉐, 북, 징)가 쓰이고, 사설 및 巫歌에는 장구나 북의 伴奏가 使用된다.3. 樂器編成으로 分類해 본 성주풀이는 (A) 混合演奏部分(單樂器+3樂器), (B) 單樂器演奏部分, (C) 3樂器演奏部分의 3부분이며 編成形式은 A·B·C·B로 나타난다.4. 성주풀이에서 使用된 長短은 느린부분에서는 12/8의 굿거리장단형이 쓰이며, 音樂이 점차 빨라짐에 따라 4/4의 단모리형으로 變한다.그림삽입(원문참조)5. 성주풀이에 쓰인 빠르기에 대한 固有한 用語로 「초판-늦인중판 -□진중판-막판」이 使用되었다.6. 성주풀이 長短의 終止形은 초판-늦인중판-□진중판-막판 중 어느 부분에서 시작하든지 終止는 반드시 '초판'으로 끝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예술 > 음악
생산연도
1987
저자명
김은자
소장처
강남대학교 도서관
조회
71
첨부파일
濟州道 성주풀이의 構成 및 長短의 硏究.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