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무용문화의 消滅的 懸案에 대한 認識과 克復을 위한 방안 모색

분야별정보 > 예술 > 기타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한국무용의 문화적 발달양상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그 어느 지역보다도 제주도 무용문화는 중앙과 지역 간의 격차를 느낄 수밖에 없다. 중앙집권체제에서의 교류를 통한 문화적 산물로서 인식되고는 있으나 생활의 순환적 기능 측면에서 드러나는 시대착오적 현상을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현재 제주도 무용문화의 정체와 비활성화라는 모순이 다음과 같이 소멸적 현안이라는 문제로 구체적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궁중정재로서의 풍류 성을 띠고 있는 탐라 순 력 도에는 현대적으로도 복원, 계승시킬 무용적 요소가 다분함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장소적 체험이나 역사적 가치의 주입에만 국한되고 있다. 둘째, 제주도 특유의 주술성과 춤 문화를 내재하고 있는 칠 머리당 영 등 굿은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됨으로써 그 가치가 대내외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나 그 전승보존은 문화재 관련 몇몇 사람들에 의해서만 유지되고 있을 뿐 대중적 확산에 대한 의지가 아주 미약한 편이다. 셋째, 해녀 춤은 척박한 환경과 핍박의 역사 속에서도 강인한 정신으로 삶을 보듬어 온 제주 해녀들의 강건한 의지력의 표상이다. 하지만, 현실은 해녀박물관을 통한 피상적인 어업행위의 재현에만 국한되어 있어 그 진정한 가치가 사장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적 모순을 극복하고 제주도 민속 문화와 무용의 미래발전 방안을 모색 키 위하여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제주도민은 물론이요 제주도를 찾고 있는 관광객들을 상대로 전반적인 인식도 조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행정실무자의 입장에서는 제주도 민속 문화의 침체와 비활성화의 원인이 현장활동을 하고 있는 예능인이나 관객들의 인식부족의 탓으로, 현장활동을 실질적으로 행하고 있는 예능인이나 학자들의 경우는 그 이유를 행정적 미비로 인한 시스템의 부재를 근본 원인으로 꼽았다. 2. 제주도의 민속무용 작품, 무용수, 단체 등에 대한 사람들의 인지도는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대중의 관심 및 인식부족이 가장 대표적인 이유로 꼽혔다. 3. 제주도를 찾은 관광객의 경우 제주문화예술에 관심을 갖는 동기가 직접적인 참여, 여가선용, 지역주민과의 접촉, 흥분과 일체감 경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의 보존을 게을리 하는 것도 문제지만 전통의 답습 또한 무서운 과오이다. 단지, 우리 것이라는 이유로 과신하지도 말 것이며 옛 것이라고 하여 도외시해서도 안 될 일이다. 문화의 경우는 더더욱 그렇다. 특히, 민속 문화의 경우는 훨씬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렇지 못한 현실이 오래 토 록 지속되고 방치된다면 그 끝이 바로 소멸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자는 제주 민속무용의 대중화와 현안문제 극복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예술 > 기타
생산연도
2011
저자명
채형지
소장처
세종대학교 도서관
조회
29
첨부파일
제주도 무용문화의 消滅的 懸案에 대한 認識과 克復을 위한 방안 모색.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