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굿에 나타난 춤에 대한 연구

분야별정보 > 예술 > 기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무속은 한국 민속 예술의 뿌리라 말하여도 결코 지나치지 않는다. 이는 무속 실제적으로 민속 예술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한 예술장르로서 발전하도록 기여했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을 한반도의 최남단에 고립되어 있는 제주도의 굿을 대상으로, 무용학적 측면에서 제주도 굿에 나타난 무무를 연구하였다. 먼저는 제주도 굿의 일반적인 사항들을 고찰하였다. 그 내용들은 통과의례, 계절의례, 예측의례, 치병의례, 생산의례, 그리고 건축의례에 따른 제주도 굿의 종류들, 굿의 무구와 무복, 제단과 굿판의 구성, 그리고 굿의 제의적 절차에 관한 것들이다. 둘째는 제주도 굿이 갖는 예능적 형식를 보았다. 즉 무악으로서 장구, 징(울정), 북(울북), 설쇠(울쇠)와 무악 장단인 늦은 연물, 중판, 잦은 연물과, 신칼들고 추는 춤을 비롯한 24가지 형태의 춤, 그리고 이러한 제주도굿춤이 갖는 고유한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세째는 제주도 굿에서의 춤의 구성을 보았다. 특별히 제주도 굿 중 1만 8천 신이라는 무속의 모든 신을 청해 모셔서 소원을 비는 제차인 초감제를 통하여 제주도 굿이 갖는 춤의 구성을 보았다. 네째로는 제주도 굿에 나타난 춤사위을 살펴 보았다. 특별히 춤의 한 단계 마다 사진을 수록하고 그에 따른 발 스텝과 몸 동작, 그리고 음악 장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사실은 제주도 굿에는 예능적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춤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그 특징적인 면으로 단순성, 연극성, 그리고 상징성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제주도 굿춤에도 정형화된 구성이 있음과, 마지막으로 제주도 굿에는 독특한 춤사위가 형성화 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예술 > 기타
생산연도
1991
저자명
원필녀
소장처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18
첨부파일
제주도 굿에 나타난 춤에 대한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