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 초감제 굿춤 연구

분야별정보 > 예술 > 기타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제주도는 신화의 땅으로 현전하는 무속신화가 매우 다양하고 각 본풀이 구연에 앞서 초감제를 반드시 올린다. 이는 여러 신들이 굿이 열리는 장소에 좌정하기까지 하늘이 열리는 아득한 태초의 시간부터 오늘의 굿판이 열리는 현재까지 신의 내력과 인간의 기원을 담은 초월적 현상을 경험하게 한다. 

본고는 제주도의 굿춤이 제의 속에서 신화적 상징체계를 담고 있음을 전제 로 초감제의 굿춤을 분석하였다. 분석범위는 초감제의 베포도업춤과 군문열림춤, 새ᄃᆞ림춤, 신청궤춤이다. 

초감제 굿춤의 사상적 배경을 제공하는 베포도업침과 천지왕본풀이는 천지개벽과 인간세상의 질서를 만든 근본내력을 밝히는 한국의 창세신화다. 

그 내용을 살펴본 바, 무극(無極)에서 하나의 태극(太極)으로 태극에서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이 생겨나고, 오행은 천지만물의 생명이 운화하는 자연과 인간 삶의 질서를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하늘과 땅, 인간의 조화로운 질서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동양의 천문 우주론을 바탕으로 서사가 전개되었다. 

본고는 천문 우주론에 대한 해석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제주도라는 지역의 환경적 요인은 제주인의 삶이 고대로부터 천문, 역법에 근거한 자연의 질서를 동경하며 자연신을 숭배하고 하늘의 질서를 강조했던 우주적 관념이 제주민의 의식 속에 자리하였음이 제주도굿 초감제의 본풀이(신화)에 나타나며, 초감제 본풀이는 의례 속 굿춤과 상관성을 지니며 사상적 기틀을 제공한다고 보았다.

신화는 심방의 언어적, 행동적 요소로 재현되는데 이때 굿춤은 제의의 구술상관물인 신화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는 본고가 제의학파 신화론을 근거로 제의와 신화, 굿춤의 상관성을 논의하였음을 말한다. 

초감제 굿춤은 신화와의 제의의 상관성을 잇는 매개로 그 원리를 첫째, 초공본풀이에 근거한 무조신의 성장배경이다. 무조신 젯부기삼형제가 삼천천제석궁에 갇힌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아버지를 찾아가고 심방이 되는 과정은 제주도의 굿을 집행하는 심방의 길과 무구와 악기의 내력을 담은 신화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예술 > 기타
생산연도
2015
저자명
박영애
소장처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55
Link
http://www.riss.kr/link?id=T13820281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