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공공언어 사용 실태 연구

분야별정보 > 언어 > 제주어



이 논문은 공공언어 개선의 필요성과 제주지역 공공기관의 공공언어 사용 실태를 살펴보고, 현 시점에서 가능한 공공언어 개선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공언어의 핵심은 생산자가 누구든지 그 대상은 바로 일반인이고, 불특정 다수라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공공언어는 그 사용자인 일반인 누구나 알기 쉽게 씌어야 한다는 것이다. 2005년 국어기본법 제정 이후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에 국어책임관이 지정되어 공공기관의 바르고 쉬운 공공언어 쓰기가 장려되고 있으며, 국립국어원에는 공공언어 지원단이 설립되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마다 국어진흥조례를 앞을 다투어 제정하였다. 이렇게 공공언어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었는데, 실제 공공언어의 현실이 어떠한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공공언어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된 2010년과 5년이 지난 2015년의 공문서 오류 현황을 비교하여 그 변화 모습을 살펴보려고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5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2010년에 누리집에 게시되었던 문서와 2015년에 게시된 문서의 오류를 조사하였다. 띄어쓰기, 문장부호, 외래어 남용과 어려운 한자어, 어색한 문장과 잘못된 표현의 4개 분야로 나누어 문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0년의 공문서나 2015년의 공문서의 오류 현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공공언어 개선에 대한 많은 정부 차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 공공언어 사용 현장의 모습은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공공언어 개선을 위해서는 국가, 기관, 행정직원, 국민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 국가 차원의 정책 마련과 지원도 필요하지만 각 기관 책임자의 의식 개선이 필수적이다. 공공언어 개선이 논의 차원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의 변화를 기대하려면 행정 실무자들이 왜 공공언어를 쉽고 바르게 쓰는 것이 필요한지 깨닫고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지원을 해야 한다. 더불어 국민들의 관심과 요청이 합해져야 가능한 일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언어 > 제주어
생산연도
2016
저자명
김미진 외
소장처
KCI
조회
35
첨부파일
제주지역 공공언어 사용 실태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