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 방언의 동사류 접미사 연구: 종지법의 굴절 접미사를 중심으로

분야별정보 > 언어 > 제주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언어는 개인에 따라 서로 다를 분 아니라, 가족 부락 도시 등 사회적 구분에 따라 다르다. 우리는 한 개의 언어 형태가 지리적 내지 사회적 차이 때문에 달리 사용하는 경우를 흔히 본다. 언어의 역사적 변화는 지리적 분포와 결부되어, 독특한 지역을 형성한다. 초점지역, 전이지역, 외연지역이 그것이며, 그외에 회랑형 지역을 들 수 있다. 언어특질의 지리적 분포에는 역사적 암시가 내표되어 있어서, 이것을 가지고 그 특질의 초기상태에 관한 추측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회적 변화, 역사적인 변화와 지역적인 변화로 인하여 형성된 특정지역의 언어를 방언이라 한다. 방언 연구는, 하나의 언어가 다른 언어와 관계없이 독립해서 연구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독립적으로 연구될 수 있다. 한 언어형태 구조에 대한 연구가 형태소 분석에서 출발하듯이, 방언의 형태 구조에 대한 연구도 그러하다. 형태소 분석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것은, 단일 형태소의 이형태를 구분하는 일이다. 이형태는 주어지는 조건이 음운론적 조건이나 형태론적 조건, 또는 수의변화에 따르 그 형태를 달리한다. 한 개의 형태소가 음운론적 조건 내지 형태론적 조건을 받아 변화하는 현상을 형태 음운 변화라 한다. 한 언어 형태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그중 동사류나 형용사류는 일정한 접사 첨가 과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접사 첨가 과정은 어근이나 어간에 접사가 붙어서 문법상의 변동이나, 의미상의 변화를 일으키는 형태 생성과정을 말한다. 본 연구는 한국어 방언권 중에서 지리적 분포를 볼 때, 가장 외곽적 지역에 해당하는 제주 방언의 동사류 종지법에 관한 것이다. 제주 방언의 동사류 어간에 배합되는 여러 접미사의 형태소와 공통어의 그것과를 비교 검토하는 방법으로 시도한 본 연구에서 발견한 것은, 공통어에서 찾을 수 없었던 여러 가지 독특한 형태소들이었다. 태 접미사의 {-ci-}, 시간 접미사의 형태소 중 동작이나 행동이 지속되는, 즉 미완료 시간의 형태소로 {-m-}이 보이며, 상태 접미사로 고어형의 잔존으로 보이는 {-si-}가 있으며, 의지, 추측을 나타내는 {-kh-} {-n-}과 상 접미사중, 회상 형태소인 {-a-}/-a- -□-/가 그것이며, 종지 접미사 중, 의문형 형태소로 공통어에서 쓰이지 않는 {-ta-}가 보이다. 가장 특이한 형태로는 종지 접미사 다음에 덧붙이는 접사라 할 것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언어 > 제주어
생산연도
1976
저자명
강정희
소장처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조회
30
첨부파일
제주 방언의 동사류 접미사 연구- 종지법의 굴절 접미사를 중심으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