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濟州 方言의 命令 話行 硏究

분야별정보 > 언어 > 제주어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종결어미에 따라 결정된 평서문과 의문문의 일부가 실제의 발화에서는 명령의 화행으로 나타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화용론에 근거하여 명령 화행의 범주를 설정하고 그 유형을 분류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제 2장에서 우선 전통 문법 이론에 근거하여 통사론의 입장에서 명령문의 범주를 확인하고, 명령문을 규정 짓는 명령형 종결어미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예시 발화로 투입하고자 하는 제주 방언의 명령문과 그 종결어미를 대비함으로써 제주 방언의 명령 화행을 분석하는 기초로 삼았다. 다음 화용론의 입장에서 국어의 일반적 문형을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명령문에 청유문을 포함시켰다.)의 세 가지 유형으로 통합하였다. 이 문형 분류에 따라 John L. Austin과 J. R. Searle 등의 언어철학과 화행 이론을 토대로 평서문과 단언 화행, 의문문과 질문 화행, 명령문과 명령 화행으로 문형을 화행에 대응시켰다. 제주 방언의 문장 유형 역시 표준어에 비해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문형과 화행의 대응을 표준어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이어서 명령 화행을 결정짓는 화수 행위에 대하여 요청 행위, 지시 행위, 청유 행위의 세 가지 기준을 설정하였다. 제 3장에서는 통사론적 문장의 유형 중, 실제 명령의 의미를 지닌 화행을 그 화수 행위의 직접성 여부에 따라 직접적 명령 화행과 우회적 명령 화행의 두 가지로 분류한 다음, 제주 방언의 현실적 발화 상황과 그에 대응하는 표준어의 발화 상황을 투입하였다. 직접적 명령 화행은 문법적 명령문과 청유문에 대응하는 화행으로서 명령형 종결어미의 통사적 특성과 명확한 명령 의미의 발화를 그 조건으로 삼았다. 이는 그 성격에 따라 명령형 종결어미가 이끄는 명령 화행, 청유형 종결어미에 의한 명령 화행, 종결 첨사를 통한 명령 화행으로 분석하였다. 우회적 명령 화행은 단언 화행과 질문 화행 중, 명령으로 표현해야 할 화수 행위를 교체 활용한 문형으로 그 조건을 삼았다. 따라서 이를 질문 행위의 우회적 명령 화행과 단언 행위의 우회적 명령 화행으로 나누었다. 질문 행위의 우회적 명령 화행은 명령의 강도를 기준으로 강화된 명령을 위한 질문 행위와 완곡한 명령을 위한 질문 행위로, 단언 행위의 우회적 명령 화행은 청자의 인지 사실 여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 방언의 직접적 명령 화행은 표준어에 비하여 높임 종결어 유형이 적기 때문에 종결 첨사로 그 역할을 대신하는 점이 두드러진 특징으로 드러났다. 우회적 명령 화행은 제주 방언과 표준어 사이에 뚜렷한 차이점이 없으며, 단언 행위에 비하여 질문 행위를 통한 명령 화행이 많았다. 특히 명령은 화자가 청자의 행동을 구속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단언 행위나 질문 행위를 통하여 화자의 명령 강도를 조절하는 우회적 명령 화행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언어 > 제주어
생산연도
2000
저자명
강남국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26
첨부파일
濟州 方言의 命令 話行 硏究.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