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濟州道 地名語의 形態와 意味素 考察

분야별정보 > 언어 > 제주어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 논문의 목적은 제주도 지명어의 어휘 형태 (단어 구조)를 분석·고찰하고, 지명어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데 있다. 방언 중에서도 지명어는 그 성격상 보수성이 강하다. 그래서 고어를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지금까지 제주도 지명어에 관한 종합적·체계적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명어의 형식으로서 단어의 형태와 내용으로서의 [의미]를 추구한다. 제주도의 지명어를 단어 형태면에서 고찰하면, (1) 제주도의 지명어는 의미·형태면으로 볼 때 '이중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논자에 따라서 '수식+피수식, 지명한정소+지명보편소, 수식요소+근간요소' 등 다양하게 언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의미론적' 접근이므로 일반적 포괄적 용어보다 [의미소](lexeme)라는 개별적 용어를 선택하여, [의미소]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2) 단어의 형태는 크게 네 종류로 나누고, 작게는 단일형 (1), 파생형(4), 합성형(11), 혼합형(6) 등 22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파생형은 ① aR형, ② Ra형, ③ aRa형, ④ aa형 ※ a=affix, R=Root 합성형은 ① R1R2(대등) < (N+N) + (N +N) > 예) 밧고랑논고랑 ② R1R2(주종) 예) 산우장 예) 너븐내 예) 조슨□리 ③ R1R2-R3(주종) <(N+Vs)+N> 예) 쇠떨어지는구멍 <(N+N)+N> 예) 절물오름 <(N+As)+N> 예) 흙붉은오름 <(As+N)+N> 예) □내골 <(Vs+N)+N> 예) 걸시오름 <{(Vs+N)+N}+N> 예) 돈내콧도 <((N+Vs)+N)+N> 예) 직사먹는물도 *R=root, N=noun, Vs =verb stem, As =adjective stem 혼합형은 ① aR1R2, ② R1R2a, ③ R1a_(1)R2a_(2), ④ R1a1R2R3, ⑤ R1R2aH3, ⑥ R1aR2. (3) 단일 형태의 지명어가 적다는 것은 생활 공간이 세분화되고 복잡해졌다는 것을 반증한다. (4) 제주도 지명어의 대다수는 합성형과 파생형이다. 제주도 지명어를 의미면에서 고찰하면, (1) '-도', '-개', '-코지' 등은 '접미사'나 독립된 의미를 지닌 '자립명사'로 쓰인다. (2) 지역에 따라 동일한 형태의 [의미소]를 다른 형태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좁은 지역이지만 왕래가 적었고, 생활의 형태가 어촌형, 농촌형 등으로 각각 달랐기 때문이다. (3) [河川]에 관한 의미소가 적고 [田地], [山岳], [林野], [巖盤]에 관한 의미소가 많은 것은 '화산 지형'이라는 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4) 陸上과 海上을 동일한 형태의 의미소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농·어촌을 같은 생활 공간으로 여기고 사는 주민들의 생활 방식을 엿볼 수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언어 > 제주어
생산연도
1999
저자명
양정식
소장처
경북대학교 도서관
조회
36
첨부파일
濟州道 地名語의 形態와 意味素 考察.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