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조선지지자료』의 제주 지명(1) - 제주군 신좌면(新左面: 조천읍) 지명을 중심으로 -

분야별정보 > 언어 > 기타



 [국문 초록]

이 글은 『조선지지자료』(1911)의 제주군(濟州郡) 신좌면(新左面: 오늘날 조천읍)의 지명을 대상으로 하여, 지명을 국어학적으로 해독하고 그 형태를 분석하여 의미 파악을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 것이다. 특히 당시 ‘제주군 신좌면’에 소속된 지명을 중심으로 해서, 고유어의 본디 이름은 무엇이고, 변음은 무엇인가, 지명이 국어학적으로 어떻게 분석되고, 지금 어느 이름에 대응하는 것인가, 나아가 그 뜻은 무엇인가 등을 밝혀 보려고 했다.

 

『조선지지자료』 전라남도 편의 ‘제주군의 신좌면’ 지명을 정리하면 110여 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중에 한자 표기는 72개(65%)이고, 한글 표기는 38개(35%)이다. 이 중에는 上所幕尼岳(상소막니악: 웃바메기오롬)이나 ‘왕ᄆᆞ르’ 등과 같이 본디 이름을 비교적 온전하게 표기한 것도 있다. 하지만 文漵(문서: 문서물)나 ‘말찻(말찻오롬)’과 같이 지명의 후부요소인 ‘못·물’ 또는 ‘오롬’을 생략하여 표기하거나, 槐水(괴수: 궷물)와 같이 불완전하게 표기한 것도 있다. 그러므로 지명의 본디 이름을 표기하고, 분석하고 해석할 때는 주의해야 한다.

 

또한 조사된 지명 자료를 해석하고 분석할 때는 반드시 오늘날 민간에서 전하는 지명과 대응시켜서, 본디 이름인지 변음인지를 정확히 가려서 분석하고 해석해야 한다. 가령 同水橋(동수교)는 표기로 볼 때 ‘ᄃᆞ리>다리[橋교]’와 관련이 있을 듯하나, 실제 지명 조사를 하면 ‘ᄃᆞ리>다리[橋교]’와 관련이 없는 ‘동수ᄃᆞ로·동수ᄃᆞ르’의 차자표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동수’는 ‘동물통(동통)’과 관련이 있고, ‘ᄃᆞᄅᆞ>ᄃᆞ로·ᄃᆞ르’는 ‘ᄃᆞ르겡이·ᄃᆞ렝이(별로 크지 않은 밭)’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가 정보]

1) 논문명: 『조선지지자료』의 제주 지명(1) - 제주군 신좌면(新左面: 조천읍) 지명을 중심으로 -

2) 영문 논문명: The Jeju place name having been used for to a Joseon-Jiji-Jaryo(朝鮮地誌資料) - Around the Jeju-gun Sinjwa-myeon place name -

3) 저자: 오창명

4) 발행 정보: 지명학 17권, 한국지명학회, 2011

5) 쪽수: 179-210(32쪽)

6) 저자 주요 어휘: 조선지지자료, 제주군, 신좌면, 조천읍, 제주 지명, 차자 표기

유형
논문
학문분야
언어 > 기타
생산연도
2011
저자명
오창명
소장처
한국지명학회
조회
40
Link
https://www.placename.or.kr/journal/search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