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원천강본풀이>의 본디 모습 연구

분야별정보 > 문학 > 구비문학



이 연구는 <원천강본풀이>의 덧입힌 부분을 걷어내고 본디 모습을 탐구하 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격적 연구에 앞서 제목인 ‘원천강’의 뜻을 탐색하 다. 신화가 발생한 원시 애니미즘적 사고에서 자연과 인간은 미분화상태에 서 분화상태로 이행하는데, <원천강본풀이>에서 제목은 이와 같은 신화의 역사적 진화 과정을 반한다. 따라서 원천(原泉)은 주인공이 태어난 근본을 뜻하는 동시에 직능을 행하는 신직의 이름이기도 하다. 원천(原泉)의 뒤에 붙은 강(綱)도 원천(原泉)과 같은 뜻으로 중의적으로 쓰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신화 선행설의 입장에서 신화의 본디 모습에 다가서고자 하였다. 먼저 신화에 들여온 삽화를 걷어내어 변화의 실체를 규명하다. 그 결 과 민담인 구복여행담의 일부가 신화에 삽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부분을 제외하면 본디 이야기인 출생과 신직 부분이 남는다. 출생 화소에서 는 제주도의 ‘당신화’나 ‘탐라국 기원설화’에서 볼 수 있듯이 남방계 신화의 특성이 고스란히 반되어 있다. 신직 화소에 있어서 역사적 산물로 추정되는 수직적 질서관을 걷어내면 수평적 질서관이 자리잡고 있다. 수평적 세계에서 나타나는 신직의 특성은 <삼공본풀이>의 주인공인 가믄장아기를 통해 추론할 수 있다. 가믄장아기는 신직 좌정에 있어서 타자에 의한 부여가 아니라 스스로 좌정하는 화생관이 바탕이 되어 있다. <원천강본풀이>의 오늘이와 사계절의 관계는 자식과 부 모라는 신화적 상징성으로 나타나는데, 오늘이가 자신의 원천인 부모국에 도달하여 사계절의 질서를 바로잡음으로써 ‘원천신’으로 존재하을 것으로 본다. <원천강본풀이>의 본디 모습을 재구하는 작업은 신화의 역사성에 바탕을 둔다. 역사성은 연속과 단절을 거듭한다. 오늘이와 사계절의 관계는 우주 순환의 원리를 함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속성을 지니지만, 이외에 들여온 민담이나 북방계 요소는 단절성으로 작용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문학 > 구비문학
생산연도
2015
저자명
권복순
소장처
KCI
조회
35
첨부파일
원천강본풀이의 본디 모습 연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