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 일반신본풀이에 나타난 부친탐색담 기능과 전승 원리

분야별정보 > 문학 > 구비문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 연구의 목적은 <천지왕본풀이>, <초공본풀이>, <이공본풀이>에 나타난 부친탐색담의 기능과 전승 원리를 밝히는데 있다. 그동안 부친탐색담은 서사 문학의 한 원형으로서 나라와 가문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이를 계승하는 측면의 의미 연구에 주목하였다. 신화는 유래와 근원을 알려주는 이야기다. 그러므로 시조(始祖), 시원(始原)에 해당하는 아버지의 존재는 큰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현실적인 삶에서 아버지가 부재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신화집단은 부친탐색을 시도하게 된다. 제주도 무속 신화인 본풀이 세 편에 ‘부친탐색담’이 선명하게 드러난다. 절대 신격을 노래하는 <천지왕본풀이>, 무조신의 내력을 구송하는 <초공본풀이>, 주화관장신의 삶을 말하는 <이공본풀이>가 그것이다. 부친 탐색을 중심으로 한 본풀이 서사 구조를 분석한 결과 네 개의 공통 신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 결합의 신화소’, ‘부친탐색 신화소’, ‘증여와 답례 신화소’, ‘신직 해석 신화소’가 그것이다. ‘결합의 신화소’는 아버지의 출현 양상에 따라 그 특성을 달리하고 있다. 천지왕은 하늘의 존재로서 절대적인 권위를 가진다. 그러기에 결합 또한 일방적이다. 주자대선생은 현실과 비현실을 오가는 존재로서 권위 또한 혼합적 양상을 띠고 있다 사라도령과 원강암이는 구덕혼사로 결합을 이룬다. 그의 권위는 현실적으로 한정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부친탐색의 신화소’는 탐색 과정에 나타나는 고통의 정도에 따라 서사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난다. 대별왕 소별왕의 아버지 탐색은 정신적 결핍 때문이다. 그들은 박씨를 타고 하늘에 올라 아버지를 만나게 된다. 그 과정은 고통 없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초공 삼형제의 아버지 탐색은 어머니의 죽음 때문이다. 이는 육체적 결핍으로 중대한 문제를 유발하였다. 외할아버지를 거쳐 아버지를 만나게 되는 과정은 수월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어머니의 삶이 아들에게 투영된다는 측면에서 보면 고통의 양상을 추출할 수 있다. 할락궁이의 탐색 동기는 주체적 자각이다. 열다섯이 되자 아버지 부재로 인한 사회적 결핍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부친 탐색에 나선다. 서천꽃밭에 이르는 과정은 고난이 반복되는 구조이며, 합혈과 얼레빗 맞추기를 통하여 신분을 확인한다. 이로써 아버지의 신격에 따라 탐색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난의 강도가 결정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다음은 ‘증여와 답례의 신화소’로서 신직의 중복 여부에 따라 증여의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천지왕은 하늘과 다른 세상인 이승과 저승을 증여하므로 신직 중복이 없기에 ‘순수증여’라 말할 수 있다. 주자대선생은 삼형제에게 무법(巫法)을 증여한다. 아버지는 이계의 사제자이며, 아들은 인간세상의 사제자가 된다. 이에 신직 중복 양상은 혼합적이므로 ‘증여’라 할 수 있다. 사라도령은 주화(呪花)를 증여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문학 > 구비문학
생산연도
2014
저자명
강순희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36
첨부파일
제주 일반신본풀이에 나타난 부친탐색담 기능과 전승원리.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