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海女노래 辭設에 드러난 海女의 經濟活動과 海女노래 傳承方案

분야별정보 > 문학 > 구비문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본 연구는 '해녀노래' 辭說 드러난 해녀의 경제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제주도 해녀의 위치를 재조명하며, 해민정신을 계승하고 '해녀노래' 를 전승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녀노래' 에 따른 춤사위 지도 자료를 구안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해녀의 위치, 해녀노래 전승 양상, 그리고 이미 채록되어 자료집에 실려있는 해녀 작업의 題材를 '잠수작업, 해산물채취, 잠수목적' 으로 분류하여 제주 해녀의 경제활동을 분석하였으며, 성산읍 온평리 해녀들과 면담을 통하여 '해녀노래' 구연 상황과 물질수입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해녀노래' 전승 방안으로 '해녀노래' 에 따른 춤사위를 구안하여 도식화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해녀현황을 살펴보면 1994년 말 현재 제주도에는 6,068명의 해녀가 있으나, 1970년 23,930명에 비하면 25%에 불과하다. 또한 1994년 해녀 구성비에서는 50세 이상의 해녀가 64%를 차지하고 국민학교 졸업자가 85%로 학력이 높을수록 해녀 직업에 대한 선호도가 낮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해녀의 고령화 현상과 해녀수의 감소는 바로 '해녀노래' 전승위기와 직결된다. 그러므로 해녀수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政策樹立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둘째, '해녀노래' 는 이 세상에서 제주도에만 전해지면서 '맷돌·방아노래' 와 함께 제주도 민요 중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또한 '해녀노래' 는 노를 젓는 동작과 밀착된 채 구연됨으로써 작업에 이바지하는 기능이 뚜렷하나 오늘날 노를 젓는 작업과 함께 불리는 '해녀노래' 는 해녀작업과 분리되어 버렸기 때문에 자연적 전승이 있을 수 없게 되어 '해녀노래' 의 구연방안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셋째, '해녀노래' 辭說은 ① 해녀작업 출발의 노래(16편), ② 해녀작업의 노래(38편), ③ 해녀출가의 노래(談편), ④ 해녀출가 생활의 노래(19편), ⑤ 사랑노래(37편), ⑥ 해녀들의 여정(23편)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辭說의 題材에는 해녀들이 신명을 걸고 생업에 임하는 숙연함과 불굴의 의지가 담겨져 있으므로 학생들에게 '해녀노래' 를 통해 해민정신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문학 > 구비문학
생산연도
1997
저자명
양순자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20
첨부파일
해녀노래 사설에 드러난 해녀의 경제활동과 해녀노래 전승방안.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