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베포도업침>·<천지왕본풀이>의 구조를 통해 본 창세신화와 영웅신화의 관계

분야별정보 > 문학 > 구비문학



제주도 굿의 대표적 의례인 초감제에는 무가 <베포도업침>과 <천지왕본풀이>가들어 있다. <베포도업침>의 자연-인간의 문제와 <천지왕본풀이>의 인간-인간의 문제의 차이가 있고 그 해결의 서사는 유사하다는 것이 드러난다. 처음의 상황인 천지개벽은 창세신화에서 가장 중요하고도 독립적인 화소이다. 무질서에서 질서로 이행하는 것이 바로 창조 또는 창세이다. 해와 달이 둘씩 있다거나 기껏 만들어놓은지상에 악인이 존재한다는 것은 창세가 인간에게 불완전한 것이며 창세가 새롭게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이나 불로 세상을 징치하는 신화가 보편적으로 존재한다. 이를 천지재창조신화라 할 수 있다. 일월문제등을 천지왕이 해결하지 못하고 지상녀와 혼인하여 아들 형제를 얻는 내용인 해결시도와 해결방안을 하나로 묶어볼 수 있다. 성장한 아들 형제가 일월문제나 수명장자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문제 해결이다. 다음으로 아들들이 이승을 놓고 경쟁하여결국 소별왕이 이승을 차지한 결과 이승에 악이 지속되고 말게 된 것은 결과이다.

이러한 서사구성을 간략히 ‘1. 천지개벽, 2. 천지 재창조 필요, 3. 아들 형제 탄생, 4. 아들형제가 문제 해결, 5. 이승법 마련’ 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천상의 존재는 인간 현실과 다른 차원의 질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상의 문제를 천상의 힘으로 일시적으로 해결할 수는 있어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상적이면서 천상적인 존재가 필요하다. 지상적인요소는 지상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갖기 위해서이고 천상적인 요소는 지상을 뛰어넘는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존재를 갖기 위해서 하늘에서 내려온아버지와 지상에서 고난을 겪고 사는 어머니가 필요하다. 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은 지상에서의 삶의 고난의 문제를 자신의 것으로 수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려는의지를 가지며, 천상의 안목과 능력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렇게 정신적인 것 영적인 것 문화적인 것을 아는 것은 자연의 창조와는 다른인간 사회에 더욱 긴요하다. 자연의 창조를 모방하지만 필요한 것은 인간 사회의건설이다. 영웅의 최종 목표는 바람직한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문학 > 구비문학
생산연도
2014
저자명
신연우
소장처
열상고전연구회
조회
22
첨부파일
베포도업침·천지왕본풀이의 구조를 통해 본 창세신화와 영웅신화의 관계.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