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지장본풀이>의 서사구조와 새다림 말명 삽입의 의미

분야별정보 > 문학 > 구비문학



<지장본풀이>는 지장아기씨의 고난과 굿을 통한 극복, 새림 말명으로 구성된다. 새림 말명은 새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으면 지장아기씨의 삶의 모습과 관련성이 없어 보인다. 지장아기씨가 사후에 새로 태어난 이유를 본풀이 안에서 찾고, 이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제주도굿과 연관시켜 보았다. <지장본풀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9편의 이본을 검토하여 7개의 서사단락을 찾아내고 이들의 앞단락과 뒷단락이 대립하는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 기본형의 대립 구조는 여러 차례의 굿을 통하여 확장형의 대립 구조로 나아갈 수 있었다. 동일한 구조의 반복으로 인하여 현실과 신화의 세계가 융합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지장본풀이>의 끝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새림 말명은 제주도굿과 연관시켜 이해하여야 한다. 초감제 새림의 기능은 제장을 정화시키는 기능인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가 지장아기씨가 정성으로 굿을 행하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초감제 새림에 나오는 새는 지장아기씨이다. <세경본풀이>의 서수왕딸애기로 혼동될 우려가 있으나 그것은 본초적인 새의 모습으로 지장아기씨 이전에 존재한다. 초감제 새림의 의례와 관련지을 때 <지장본풀이>의 의미가 선명해진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문학 > 구비문학
생산연도
2016
저자명
고은영
소장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조회
30
첨부파일
'지장본풀이'의 서사구조와 새다림 말명 삽입의 의미.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