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여성 담당층 관점에서의 <초공·이공·삼공본풀이>의 문학-사상의 의미망

분야별정보 > 문학 > 구비문학



<초공본풀이> <이공본풀이> <삼공본풀이>의 세 본풀이가 왜 이런 식으로 묶여 있는지 해명이 필요한데 지금으로서는 답하기가 난감하다. 우선 가능한대로 세 본풀이의 연관성을 모색해보는 것은 시도만으로도 의의가 있다. 우선 이 본풀이들의 담당층이 여성이라는 점을 떠올릴 수 있다. 주된 구연자인 여성과 주된 관중인 여성들은 의례와 신앙의 대상으로서의 굿 속에서지만, 본풀이의 이야기문학으로서의 구실에도 참여했을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고난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정리해보자. 감은장아기는 여성 자신의 힘으로 고난을 극복한다. 원강아미는 장자집에 자신을 팔 때와 장자의 요구를 거절할 때 자신의 능동성을 보인다. 노가단풍 아기씨는 수동적이기만 하여 자신의 힘으로 고난을 극복하지 않고 고난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수동적이기만 한 여성, 부분적으로 자기 문제를 해결하는 여성, 자기 삶을 스스로 이끌어가는 여성, 이 세 본풀이는 이러한 세 가지 여성의 태도를 차례로 제시한다.

주인공들의 이러한 현실 인식 차이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노가단풍 아기씨는 현실 앞에 未分인 의식 상태를 보여준다. 원강아미는 객관적인 현실 인식을 보여준다. 감은장아기는 현실을 극복하는 자아의 태도를 보여준다. 이는 현실을 대하는 여성의 세 가지 모습 또는 여성을 바라보는 세상의 세 가지 시각을 제시한다. 첫째는 현실이 너무 크고 막강해서 자아 개인의 능력으로는 파악할 수도 없고 대처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사실은 대부분의 경우 우리는 이러한 상황에 놓인다. 따라서 그렇다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 대답이 원강아미처럼 현실을 제대로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나름대로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것이 현실적인 가장 좋고 가능한 방법이다. 그러나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강아미는 학대를 당하고 죽게 된다. 무엇이 해결이란 말인가? 합리적 인식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유형
논문
학문분야
문학 > 구비문학
생산연도
2010
저자명
신연우
소장처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조회
39
첨부파일
여성 담당층 관점에서의 초공·이공·삼공본풀이의 문학-사상의 의미망.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