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2019 서순실 심방 본풀이 - 삼승할망본풀이

분야별정보 > 문학 > 구비문학



2019.12.02. 2019 서순실 심방 구연 삼승할망본풀이 

❍ 명진국할망(삼승할망)본 대강

 - 명을 길게 한다는 의미를 지닌 ‘명진국사암불도할망’은 삼승할망, 천왕불도 지왕불도 인왕불도할마님 등으로 불리는데, 똑똑하고 현명하여 옥황상제로부터 아기를 포태시키고 해산시키는 신으로 지명을 받음.

 - 그녀의 복색(옷)을 보면, 남방사주 저고리, 북방사주 말바지와 열두폭 대홍대단 홋단치매를 입고, 물명지 장장옷에 단추도 열두 단추, 금주랑 철죽대, 은주령 만죽대, 참실 한제, 은가위, 만삼 족두리 둘러쓰고, 나막창신에 웨코 접은 백농버선을 신고 이구산으로 내려 섬.

 - 할머니는 가난한 집과 부자집을 가리지 않고, 하루 천 명이나 만 명에게 포태를 준 후 석달 열흘이 지나서 해산을 시키며 아기가 태어나 3일째가 되면 <감사제>와 <불도맞이> 제를 받음.

❍ <할망본풀이> 세 유형의 개별 내력담이 결합된 <삼승할망본>을 하나의 서사물로 지칭하고 있는데, 이는 명진국할망을 중심으로 한 <할망본풀이>가 확장을 거듭한 것으로 보고 있음.

 - ‘동이요왕따님아기’, ‘명진국따님아기’는 각각 ‘저승할망’, ‘생불할망’으로 명명되고 있으며, 아이를 잉태시키는 동일한 기능을 맡게 되자 경쟁을 거쳐서 직능을 분담하고 있는 것처럼 <마누라본풀이> 역시 명진국할망이 등장하지 않는다면 개별 본풀이로는 성립이 어려움. 

 - <할망본풀이>에는 당신본풀이의 문서를 적극 수용하였거나 영향을 준 것을 증명하는 준거들이 있는데, <송당계본풀이>의 ‘요왕황제국말젯ᄄᆞᆯ아기’ 의 기아(棄兒)와 상주표착(箱舟漂着) 모티프가 수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신 본풀이의 결합과 특정한 신격이 여러 본풀이 속에서 경쟁적으로 나타나고 있음.

 - 현승환은 한국신화에 나타나는 공간 이동이 대립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봄. 이승과 저승, 육지(陸)와 바다(海), 생(生)과 사(死)의 이원적 체계가 그것임. 바다 용궁의 탄생인 구삼승할망인 동이용왕따님아기와 천상계의 지명을 받은 삼승할망인 명진국따님애기의 대결에서 결국은  잉태와 양육을 담당하는 삼승할망이 승리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봄. 

❍ 꽃의 상징성은 주술적인 꽃이 있다는 서천꽃밭의 주화에 대한 모티프에서 찾을 수 있음.

유형
동영상
학문분야
문학 > 구비문학
생산연도
2019
저자명
제주학연구센터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82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