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정치적 난민과 월경(越境)의 문학: 김시종의 경우

분야별정보 > 문학 > 현대문학



탐라문화 65호

 

초록

김시종(1929∼ )은 청년시절 제주4⋅3항쟁에 조직원으로 참여했다가 토벌 군경의 검거를 피해 목숨을 걸고 일본으로 밀항한 정치적 난민이었다. 1949년 이후 주로 오사카 일대에서 생활한 그는 󰡔지평선󰡕(1955)에서부터 󰡔등의 지도󰡕(2018)까지 여러 시집을 내면서 70년 동안 문학 활동을 펼쳐왔다. 그는 일본어로만 시를 썼지만 일본시단의 바깥에 있었으며, 그렇다고 대한민국 시단이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시단의 내부에 있었던 것도 아니다. 그는 철저한 境界人이었다. 그의 시에는 혁명을 도모했던 정치적 난민으로서의 면모, 재일조선인으로서의 실존 문제, 경계를 넘어서는 상상력의 승화가 성공 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국경(이념)을 강조하면 인류의 평화는 불가능하고, 국경을 넘어서는 상상력이 제대로 발휘될 때라야 온전한 평화세상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온몸으로 입증한 시인이라고 할 수 있다. 4⋅3항쟁의 정치적 난민에서 뼈를 깎는 인식의 확장과정을 통해 진정한 越境人으로 거듭 나는 김시종의 長征은 실로 처절하면서도 눈물겹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역경 속에서 피어난 월경의 상상력은 그만큼 빛나는 것이 아닐 수 없으며, 바로 그것으로 인해 김시종 문학이 세계문학의 典範 반열에 당당히 자리매김 될 수 있다고 본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문학 > 현대문학
생산연도
2020
저자명
김동윤
소장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조회
49
첨부파일
탐라문화65호_정치적 난민과 월경(越境)의 문학 김시종의 경우-김동윤.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