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 구축 과정− 표류 기록의 의미 요소 추출을 중심으로 −

분야별정보 > 문학 > 기타



이 논문은 ‘동아시아 교류에 관한 인문정보를 최근 연구 흐름에 맞추어 좀 더 빠르고 정확한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구축할 수 없을까’하는 고민에서 시작되었다. 조선시대 수많은 표류 기록을 검토하여 그 결과물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시각적 데이터 관계망으로 재현해낸다면, 이 분야의 지식을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표류 사건이 기록된 문헌을 검토하여 ‘표류 인물’, ‘출해 목적’, ‘표류 원인’, ‘표류 기간’, ‘표착 지점’, ‘송환 시기’등 의미 있는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설계된 온톨로지에 따라 관계성을 정의하여 시각적 데이터 관계망으로 제공한다. 관계망의 한 노드를 클릭하면 ‘표류 인물’, ‘출해 목적’, ‘표류 원인’, ‘표류 기간’, ‘표착 지점’, ‘송환 시기’ 등 해당 내용이 수록된 고문헌 텍스트와 그 번역문, 사진 또는 영상자료 등 구조화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복합적인 공간 정보는 구글 맵을 활용한 전자지도라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공한다면, 이후 문화산업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세계를 이해하는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일반 대중들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전통 인문학 지식 정보를 수용⋅확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표류노드 시각망 구축을 위한 과정을 ‘문헌검토 요소추출’ → ‘현장답사’ → ‘시각망 구축’ → ‘결과물 출판’의 4단계로 나누어 구성해 보았다. 첫째, ‘문헌검토 요소추출’은 표류사건이 기록된 문헌을 검토하여 ‘표류 인물’, ‘출해 목적’, ‘표류 원인’, ‘표류 기간’, ‘표착 지점’ 등의 시각망 구축에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둘째, 추출한 요소를 바탕으로 주요 출해 지역, 표착 지역에 대한 현장답사를 진행한다. 셋째, 표류 사건이 기록된 문헌을 분석하여 의미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시각적 데이터 관계망으로 구축한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 이러한 시각망 구축 전 과정을 담은 결과물을 출판하도록 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1단계인 ‘문헌 요소 추출’ 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표류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표인영래등록(漂人領來謄錄)󰡕, 󰡔제주계록(濟州啓錄)󰡕 등의 관변기록을 검토하여 시각적 관계망 구축에 필요한 의미 있는 테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을 다루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문학 > 기타
생산연도
2015
저자명
이수진
소장처
KCI
조회
26
첨부파일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 구축 과정− 표류 기록의 의미 요소 추출을 중심으로 −.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