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18세기 제주문인 정체성의 일단: 장한철 『표해록(漂海錄)』의 경우

분야별정보 > 문학 > 기타



한국문학연구 65호

 

이 글은 장한철의 『표해록』 분석을 통해서 18세기 제주 문인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제주 고전문학은 한국고전문학에서 독특한 위상으로 차지하고 있지만, 대개 육지 중심의 시선으로 타자화된 이미지가 강하다. 이런 경향은 제주 고전문학에 대한 온전한 접근이 못 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에 대한 대안의 하나로 제주 출신 문인이 남긴 기록을 통해 그들의 의식세계를 확인함으로써 내부의 의식과 시선에 주목해 봐야 한다. 이 연구는 그 일환으로 장한철의 『표해록』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표해록』은 표류문학으로써 주목되어 왔지만, 여타 표해록류와는 달리 작자의 내면과 외부세계에 대한 대응의 면모가 흥미롭게 구현된 저작이다. 이 점에 착안하여 먼저 장한철의 생애와 함께, 『표해록』이 중앙 정계 등에서 읽힌 정황을 토대로 이 저작이 제주 문인의 역량을 드러내는 자료로 활용된 지점을 포착하였다. 다음으로, 『표해록』의 내용 중 선상 갈등과 외부세계와의 접촉 및 대응 등을 중요한 면모로 보고 그 양상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표류하는 배 안에서의 동선인들과의 갈등과 화해의 과정을 거쳐 장한철이 제주인, 또는 뱃사람들에 대한 인식을 제고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해적선 및 상선과 조우하면서 외부세계와 본격적으로 접속하게 되는데, 여기서는 유가지식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그 대응 과정에 투영시키고 있는 점을 주목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양한 문헌과 지도 등을 활용하여 제주지식인으로서의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는 점을 특정, 이것이 일반/육지 지식인의 지적 역량과는 다른 제주 문인만의 한 경향으로 볼 수 있다고 보았다. 결과적으로 『표해록』은 18세기 제주 문인의 자기정체성이 잘 드러난 저작이며, 이를 통해 제주 고전문학의 한 특징을 상정할 수 있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문학 > 기타
생산연도
2021
저자명
정환국
소장처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조회
35
첨부파일
18세기 제주문인 정체성의 일단 장한철 『표해록(漂海錄)』의 경우-정환국.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