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 신창리 해저유적: 청자 음각화 엽문대접

분야별정보 > 역사 > 고고



 

구연끝이 좁고 둥글고 구연부는 약간 외반하는 사선구이며 완만한 곡선을 이루며 줄어들다 평탄면을 두고 다리굽(圈足)과 만난다. 내면에 굽지름보다 큰 내저원각이 있고 내저면은 평평하다. 다리굽(圈足)은 접지면 가장자리를 비스듬히 깎았고, 굽안은 깎음이 불규칙한데 상대적으로 얕게 깎았다. 저부가 무겁고 두꺼운 편이다.

태토은 회백색으로 경질이다.

유약은 회청색 청자유약으로 약간 광택이 남아있다. 굽안쪽을 제외한 전면에 시유되었다.

문양은 외면은 무문이고, 내측면 전체를 多線紋[篦紋] 획화(가는 음각)수법으로 5엽 화판으로 구획하고 각 판의 중앙에 운두화문을 포치하였다. 내저면에는 오른쪽으로 감기는 5엽의 화엽문을 음각하였다.

점병을 받쳐 번조하였다

내외면에 부분적으로 황백색 패각류가 덮여있다

 

유형
기타
학문분야
역사 > 고고
생산연도
2016
저자명
제주학연구센터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10
첨부파일
그림1. 청자음각화엽문대접.pdf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