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지리산과 한라산 명산문화 요소의 역사지리적 특징 비교 고찰

분야별정보 > 역사 > 지리



남도문화연구 제26집

이 글은 지리산과 한라산의 명산문화 비교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두 산의 자연적·인문적 배경과 현황을 역사지리적으로 대비하여 고찰한 것이다. 산(지)의 공간범위는 자연지형적 조건, 인식주체의 관점, 분야별 접근방법에 따라 정의가 다르다. 이 글에서는 해발 200m 이상을 기준으로 지리산과 한라산의 중산간지대를 포함하는 문화역사적 산지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생활경제공간을 포함시켰다. 지리산과 한라산의 자연적 특징을 대비하면, 산 높이는 큰 차이가 없지만, 면적은 지리산이 한라산보다 3배 이상 크다. 토양은 지리산지가 부식질로 비옥도가 높지만, 한라산지는 火山灰土로서 척박하다. 수경관 자원은 지리산이 한라산보다 압도적으로 많으며, 동물자원 역시 40배 이상의 큰 차이를 보인다. 산계의 특색은 지리산은 幹枝的 連繫性으로 한라산은 主從的 群集性으로 대비될 수 있다. 하계망은 지리산이 樹枝狀·放射狀의 공간적 패턴을 나타내며, 하도는 曲流度가 크고 水量도 풍부하다. 반면 한라산의 하계망은 남·북 방향으로 빗살 모양의 平行狀을 드러내며, 하도는 대부분이 直流하고 물이 없는 乾川이 특징이다. 지리산과 한라산의 인문적 특징을 대비하면, 토지소유는 지리산이 한라산에 비해 사유지와 사찰지의 비중이 크게 높다. 상대적으로 한라산은 국유지가 대부분이다. 지리산지는 한라산지보다 촌락의 숫자가 월등하게 많으며, 분포 지역이 넓을 뿐만 아니라 고도 한계도 높다. 역사지리적으로 지리산권역은 한라산권역에 비해 벼농사(논) 규모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한라산의 농경지에서는 밭이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했다. 두 산의 취락분포와 토지이용이 다른 배경으로는, 지리산지와 한라산지의 지질·지형적 특성으로 연유된 식수 및 농업용수 조건의 차이에 기인되는 바가 크다. 한국의 명산과 명산문화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학계에서 이루어진 시기는 오래되지 않는다. 앞으로 일반적인 연구의 방법론이나 개념구성의 체계화 논의도 필요하고, 사례 연구나 비교 연구도 요청되는 실정이다. 본고는 한국의 대표적인 두 명산인 지리산과 한라산의 명산문화적 특성을 비교함에 있어서 기초적인 토대연구로서 역사지리적 배경과 현황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앞으로 한국, 더 나아가 동아시아의 명산과 명산문화에 대한 관련 연구자들의 다양한 조명과 학제적 연구를 기대한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역사 > 지리
생산연도
2014
저자명
최원석(경상대학교)
소장처
KCI
조회
28
첨부파일
지리산과 한라산 명산문화 요소의 역사지리적 특징 비교 고찰.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