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제주도종횡관(濟州島縱橫觀) 오(五): 전도(顚倒)된 가장제도(家長制度)(1937년 09월 01일) 1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제주도종횡관(濟州島縱橫觀) (五): 전도(顚倒)된 가장제도(家長制度)

도적(盜賊)없는 것도 특색중(特色中)의 하나  

보전교수(普專敎授) 최용달(崔容達) 

“소가치 일한다” 이 말은 힘차게 일한다는 형용(形容)으로 우리가 항상(恒常)쓰는 말이다. 그러나 제주(濟州)에서는 저 방목(放牧)되어잇는 우마(牛馬)는 오히려 한가(閑暇)하다. 남녀노소(男女老少)없이 남국(南國)의 쪼이는 폭양(曝陽)에는 적동색(赤銅色)으로 끄시른 그들의 얼굴은 스스로 그들의 노동생활(勞動生活)을 말하고 잇다.

우리의 도시(都市)에나 농촌(農村)엔들 과대(過大)한 노동(勞動)을 하는 자(者)가 얼마나 만흐랴 마는 이곳 제주(濟州)에 잇어서는 그것이 오히려 전폭적 현상(全幅的 現像)이다. 특(特)히 부녀자(婦女子)의 노동(勞動)은 한 개(個)의 경이적 사실(驚異的 事實)이다. 그들은 밭에서 김매고, 바다에 어렵(漁獵)하며 시장(市場)에 취인(取引)하고 출가로동(出稼勞動)을 한다 우리사회(社會)에 잇어서는 호화(豪華)로운 생활(生活)을 하는 유한부녀(有閑婦女)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웬만치 사는 가정(家庭)이라면 부녀(婦女)의 이러한 노동(勞動)은 한 개(個)의 수치(羞恥)가 아닌가?

“그들”은 어른이고 어머니고 며누리가 될 뿐이며 자녀(子女)를 기르고 하인(下人)을 명령(命令)하면 그만이다. 심지어(甚至於) 한 개(個)의 화초(花草)요 도구(道具)로 되어버리려고 하지 안는가?

물론(勿論) 우리의 농어촌(農漁村)에도 저러한 부녀자(婦女子)의 저러한 노동(勞動)을 보기는 한다. 근대도시(近代都市)의 공장(工場)에서 얼마든지 노동부녀(勞動婦女)를 보기는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오히려 저러한 호화(豪華)로운 유폐생활(幽閉生活)의 쌍생아(雙生兒)요 합주곡(合奏曲)으로서 현대경제사회(現代經濟社會)가 강요(强要)하는 역사적진로(歷史的進路)에 잇어서의 보기 실은 처참(悽慘)한 현실(現實)에 불과(不過)한 것이며 궁핍(窮乏)으로인(因)하야 아니할 수 없는 부끄러웁고도 천(賤)한 노동(勞動)을 참어갈 뿐이다. 더욱이 농어촌부녀(農漁村婦女)의 노동(勞動)은 그것이 아모리 과중(過重)하다 하드라도 그

“가장(家長)”의 노동(勞動)을 도웁는 부차적(副次的)인 것이며 그들은 의연(依然)히 가정내부(家庭內部)의 생계(生計)를 보살핌을 그 천직(天職)으로 생각(생각)하고 잇다.

​2에 계속​

유형
사진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937-09-01
저자명
동아일보
소장처
제주학연구센터
조회
20
첨부파일
670.제주도종횡관(濟州島縱橫觀) 오(五) 전도(顚倒)된 가장제도(家長制度)(1937년 09월 01일).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