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 제주지역 지방군의 편제와 실태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제주 지방군제의 개편에 따른 제주지역 지방군의 편성과 그 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제주지역 지방군의 시기별 편제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제주에 남아있는 1870년「대정군군병도안」의 지방군 편제와 그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호적중초」자료와 비교분석하여 지방군에 편성된 군병들의 직역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조선후기 제주지역 지방군 편제의 한 단면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예로부터 제주지역은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정학적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빈번한 표류ㆍ표착을 통해 중국, 일본, 유구, 안남 등과 끊임없이 역사적 긴장관계를 맺어왔다. 또한 제주를 해상 근거지로 삼고자 하였던 왜구의 빈번한 침입에 늘 대비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제주 해안에 빈번하게 출몰하면서 필요한 식량·재물을 확보하기 위해 약탈 혹은 방화를 일삼아 온 왜구를 격퇴하고자 제주민들은 그들 스스로 독자적인 방어체제를 구축하여 왔다고 보여진다. 즉, 조선시대에는 해안가에 설치된 38개의 연대와 먼 바닷가를 조망하며 왜구 등의 침입을 감시하고자 하였던 25개의 봉수, 명월진 등을 포함한 9개의 진성, 그리고 제주읍성과 대정·정의현성 등에 편제된 군병들을 주축으로 제주의 방어체제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주민들로 하여금 제주지역 지방군을 편제하는 과정에서 남정은 군역을 과중하게 부담해야 했고, 이와 더불어 각종 세금과 부역을 부당하게 수탈당하는 등 이중고를 겪고 있었다. 또한 일정한 조건을 갖춘 양인 남정은 의무적으로 군역에 종사해야 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남정들은 납속, 모칭 등의 방법으로 양반신분을 취득하여 군역의 부담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필자는 조선후기 제주지역 지방군의 편성과 그 실태를 파악하는 데 있어 당시 제주도의 사회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각 군(軍)에 편성된 군병들의 직역을 밝힘으로써 조선후기 다양한 직역을 지닌 군병들이 어떠한 병종(兵種)에 소속되어 제주지역 지방군을 이루고 있었는지를 역사적 관점에서 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앞서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 번째로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한 조선후기 지방군의 변화 양상과 함께 제주지역 지방군의 시기별 분포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조선후기 지방의 군사제도는 각 거주지 중심의 방어 훈련을 기본으로 한 속오군(束伍軍)제도와 이러한 속오군 등의 지방군 훈련과 지휘를 담당하면서 지방군사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영장제도(營將制度)를 설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영장이 설치되지 않았던 제주지역의 경우 제주목사가 육군과 수군을 통제하고, 지휘·감독하여 해안 일대에 왜구가 출몰하거나 이민족의 침입이 있을 경우 독자적으로 대처하면서 ‘독립적인 방어체계’를 형성해 왔다고 할 수 있다.

유형
논문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2010
저자명
임승희
소장처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조회
49
첨부파일
조선후기 제주지역 지방군의 편제와 실태.pdf

이 자료의 저작권은 원저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사용 시 원저작권자의 승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