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순력도 - 제주목: 별방시사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1702년(숙종 28) 11월 1일에 순력 도중 별방진에 들러 머물면서, 활쏘기를 장려하기 위해 시행하는 활쏘기 시험장면을 그린 것이다.

 그러나 성 안에서는 두 가지 일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한 편에서는 활쏘기 시험이 실시되고 있고, 또 한편에서는 우마의 점검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활쏘기 시험에는 각 면의 교사장(敎射長) 10명과 사원(射員) 208명이 참가하고 있다. 교사장은 활쏘기를 가르치는 교관, 사원은 활쏘기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 시험장에 모인 사람들이다.

 당시 활 쏘는 방식에는 몇 보의 거리에 서서, 또는 말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쏘는 형태와 유엽전(柳葉箭:살촉이 버들잎처럼 생긴 화살)을 가지고 쏘는 형태 등이 있었다.

 이러한 활쏘기 시험을 통해서 사원들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기량을 맘껏 표출했다. 활쏘기 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했을 경우에는 무과 전시(殿試)에 곧바로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다.

 점검되고 있는 말들은 별천자둔(別天字屯)의 말이며, 성 밖까지 이어져 있다. 흑우둔의 흑우는 성 밖 좌측의 아래쪽에서 대기하고 있다.

 밀물 때 바닷물이 흘러들어오도록 되어 있는 별방진은 타원형의 성으로 동문, 서문, 남문이 있다. 성문은 정면 1간의 루가 있는 우진각 초가이고 문은 2짝 여닫이며 문에는 방어를 위한 철엽이 부착되어 있다. 성문 앞에는 옹성과 회곽도를 오르기 위한 돌계단이 성문 옆에 축조 되어 있다. 성벽 위에는 여장이 설치되어 있다.

 다른 진성에 비해 성의 규모(면적)가 크고 성문이 3개소가 있는 것으로 보아 제주성에 속하면서도 동쪽 끝에 멀리 떨어져 있어서 방어의 중요성이 절실했음을 알 수 있다.

 남문을 들어서면 북성 가까이 왼쪽에 호수를 두어 객사가 있고, 객사 오른쪽에 공수(攻守) 또는 사령방(使令房)으로 보이는 건물이 자리 잡고 있다. 남문에서 객사에 다다르는 길과 서문에서 객사에 다다르는 길에 축을 맞추어 ‘ㅁ’자를 형성하면서 동창이 자리 잡고 있으며, 건물과 건물 사이에는 담을 둘러 영역을 구분하고 있다. 동창 앞에는 객사와 마주한 군기고가 자리 잡고 있다.

 성 밖의 배경으로는 체오름[帖岳], 다랑쉬오름[大朗秀岳], 둔지오름[屯止岳]이 그려져 있고, 봉수로는 지미망(指尾望), 포구로는 별방포, 용항포, 마을로는 하도의탄리(下道衣灘里)의 초가가 표시되어 있다. 또 여기저기에서 목자들이 우마를 관리하고 있는데, 우마는 검열에 대비해 줄서 있는 형태이나, 몇마리는 풀을 뜯는 모습도 보인다.

자료/저작권 정보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 1994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각, 2001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연구회, 2000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고광민, 대원사, 2004 제주도지, 제주도, 1993 제주도포구연구, 고광민, 각, 2004 제주도지, 제주도, 2006 제주역사기행, 이영권, 한겨레신문사, 2004 제주문화자료총서4-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6 그 섬에 유배된 사람들, 양진건, 문학과 지성사, 1999 돌과 바람의 섬 신들의 나라 제주, 제주도, 2000 와치와 바치, 김순자, 각, 2006 한라산 총서-한라산의 동물,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포구, 좌승훈, 나라출판, 1996 제주도 전설, 현용준, 서문당, 1996 오름나그네, 김종철, 높은오름, 1995

유형
고문헌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703
저자명
제주시 제주목 관아
소장처
제주목 관아
조회
57
첨부파일
탐라순력도_제주목_별방시사.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