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순력도 - 제주목: 교래대렵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1702년(숙종 28) 10월 11일에 교래 지경에서 진상을 위한 산짐승과 날짐승을 사냥하는 그림이다.

 제주 지역의 산짐승으로는 주로 노루, 사슴, 돼지, 지달, 오소리 등과 날짐승으로는 꿩, 까마귀, 솔개, 참새 등이 서식했으나 황새, 까치 등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슴과 노루를 쫓는 모습이 생동감 있고, 왼쪽에 그려진 고초기(高招旗)들이 화려하다. 고조기(高照旗)라고도 하는 고초기는 군대를 지휘하고 호령할 때 쓴 군기로 행로를 가르거나 합치는 신호로 쓰였다고 한다.

 이날 사냥에 참여한 관원은 삼읍 수령과 감목관이며 사냥에 동원된 인원은 말을 타고 사냥하는 마군(馬軍) 200명, 걸어서 짐승을 일정한 장소로 모는 보졸(步卒) 400여 명,

 포수(砲手) 120명이며, 사냥을 통해 사슴 177마리, 돼지 11마리, 노루 101마리, 꿩 22마리를 잡았다.

 그림에 기재된 지명은 지금의 표선면 가시리에 있는 오름들을 일컫는 것으로 사냥장소의 위치를 가늠해볼 수 있다.

 흑악(黑岳)은 ‘검은오름’의 한자 차용 표기로 표고 496미터의 오름이다.

 여운영아리(如雲永我里)는 ‘염은영아리’의 한자 차용 표기로 표고 517미터의 ‘영아리’오름이다.

 구두리(九斗里)는 ‘구두리(오름)’의 한자 차용 표기로 표고 518미터의 오름이다.

 판매동산(板埋同山)은 ‘널묻은동산’의 한자 차용 표기로, 가시리에 있는 동산이름이다.

 다라비악(多羅非岳)은 ‘따라비오름’의 한자 차용 표기로, 표고 342미터의 오름이다.

 소록산(小鹿山)은 ‘족은사스미’의 한자 차용 표기로, 표고 466미터의 오름인 ‘소록산’이다.

 대록산(大鹿山)은 ‘큰사스미’의 한자 차용 표기로, 표고 475미터의 오름인 ‘대록산’이다.

자료/저작권정보 보기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 1994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각, 2001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연구회, 2000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고광민, 대원사, 2004 제주도지, 제주도, 1993 제주도포구연구, 고광민, 각, 2004 제주도지, 제주도, 2006 제주역사기행, 이영권, 한겨레신문사, 2004 제주문화자료총서4-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6 그 섬에 유배된 사람들, 양진건, 문학과 지성사, 1999 돌과 바람의 섬 신들의 나라 제주, 제주도, 2000 와치와 바치, 김순자, 각, 2006 한라산 총서-한라산의 동물,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포구, 좌승훈, 나라출판, 1996 제주도 전설, 현용준, 서문당, 1996 오름나그네, 김종철, 높은오름, 1995

유형
고문헌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703
저자명
제주시 제주목 관아
소장처
제주목 관아
조회
61
첨부파일
탐라순력도_제주목_교래대렵.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