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순력도 - 제주목: 산장구마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1702년(숙종28) 10월 15일, 산장에서 말을 몰아 일정한 장소에 모으고 그 수를 확인하는 그림이다. 산장은 ‘산마(山馬)를 목양하는 목장’으로 한라산 중턱 이상에 설치됐는데, 효종 9년(1658) 제주 목사 이회(李禬)의 계청(啓請)에 따라 김만일(金萬鎰)의 후손들이 국가로부터 산마감목관(山馬監牧官)을 세습적으로 임명받으면서 비롯되었다.

 이들 산장은 숙종 대를 거치면서 침장(針場), 상장(上場), 녹산장(鹿山場)으로 개편되었다. 이 그림은 세 군데 산장 중 한 목마장의 말들을 점검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각 산장마다에는 원장과 사장이 설치되어 있었다. 원장은 우마를 모아놓기 위해 만든 원형의 목책이고, 사장은 모아놓은 우마를 한 마리씩 통과할 수 있게 만든 좁은 목책 통과로다.

 모아놓은 우마가 이 사장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게 하면서 나라에 봉진할 우마를 간택하거나 우마의 질병, 증감의 숫자 등을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이 그림에서는 원장 대신에 미원장(尾圓場)과 두원장(頭圓場)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사장을 만들어서 두 원장을 연결시키고 있다. 다시 말해 우마를 먼저 미원장에 모아놓은 다음 사장을 통해 빠져나가도록 하면서 점검한 뒤에 다시 두원장에 모아놓고 있는 것이다.

 사장은 우마의 수효를 파악하는데 이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진상 혹은 다른 목장으로 우마를 보내기 위해 하나씩 붙들 수 있게 된 장치이기도 하다.

 이날 산장의 점마는 제주판관, 정의현감, 산장감목관이 책임을 담당한 가운데 결책군 2,062명, 구마군 3,720명, 목자와 보인 214명 등 총 6,536명에 이르는 막대한 인원이 동원되었다.

 성판악 바로 밑에 있는 산쪽 끝 지점에서부터 구마군이 말을 몰고 내려오면, 결책군들은 다른 목마장의 경계인 목책 바깥에 줄줄이 도열해 지킴으로써 말들이 다른 곳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했다.

 미원장 주변에 있는 사람들은 군인과는 다른 복장을 한 것으로 보아 목자들로 보인다. 이들은 원장에 모인 말들의 낙인으로 자신이 관리하는 목마장의 말인지를 확인했을 것이다. 그리고 사장 바로 앞에는 제주판관, 정의현감, 감목관 등이 자리 잡고 있으면서 말의 수와 낙인, 상태를 직접 점검했던 것으로 보인다.

 

점마를 통해 골라낸 공마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봉진되었다.

1. 제주목사가 조정의 지시에 따라 그 할당량을 3읍의 감목관에게 배정한다.

2. 3읍의 감목관은 각 목장에 공마에 충당할 마필의 수집을 명한다.

3. 각 목장에서는 구마군 · 결책군 · 목자 등을 동원하여 공마를 가려낸다. 이때 미원장에 몰아넣은 마필들을 사장으로 통과시키면서 공마에 적합한 마필을 골라낸다.

4. 가려낸 공마를 소속 영문(營門)에 인도한다.

5. 제주 · 정의 · 대정 영문에서는 감목관의 책임 아래 습마(習馬) 6명이 각 목장에서 보내온 말의 마적(馬籍) · 낙인자(烙印字) · 말 주인(개인 말인 경우) 등을 확인한다.

6. 말의 나이, 키, 털빛, 건강, 조습실태 등을 조사하여 골라서 공마의 목록과 함께 보고한다.

7. 골라진 공마는 세목(細目)과 함께 조천포, 화북포로 운반해 진상선에 실어 조정에 바쳐진다.

자료/저작권정보 보기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 1994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각, 2001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연구회, 2000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고광민, 대원사, 2004 제주도지, 제주도, 1993 제주도포구연구, 고광민, 각, 2004 제주도지, 제주도, 2006 제주역사기행, 이영권, 한겨레신문사, 2004 제주문화자료총서4-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6 그 섬에 유배된 사람들, 양진건, 문학과 지성사, 1999 돌과 바람의 섬 신들의 나라 제주, 제주도, 2000 와치와 바치, 김순자, 각, 2006 한라산 총서-한라산의 동물,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포구, 좌승훈, 나라출판, 1996 제주도 전설, 현용준, 서문당, 1996 오름나그네, 김종철, 높은오름, 1995

유형
고문헌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703
저자명
제주시 제주목 관아
소장처
제주목 관아
조회
55
첨부파일
탐라순력도_제주목_산장구마.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