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순력도 - 제주목: 화북성조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1702년(숙종 28) 10월 29일, 화북진에 소속된 성정군의 군사훈련 모습을 그린 것이다.

 하단의 기록은 당시 화북진의 조방장은 이희지이며 성정군의 규모는 172명, 군대의 점검과 아울러 군기의 수효도 일일이 확인하였음을 전해주고 있다.

 성의 좌측에는 화북진에 소속된 별도연대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고, 화북진의 자세한 지형과 화북성의 위치, 성 내의 건물배치 뿐만 아니라, 민가의 위치 등이 자세히 그려져 있다.

 화북진은 타원형의 성으로 동·서로 문이 있다. 성문은 1간의 루가 있는 우진각 초가다.

 성문에는 옹성이 있고, 성벽 위에 여장이 축조돼 있다. 성 안의 동문과 서문 사이 중앙에는 남쪽에 큰 마당을 두고 객사가 있다.

 객사의 좌우에는 군기고로 보이는 건물들이 자리 잡고 있다. 건물들은 따로 쌓은 담장 속에 있으며 객사 쪽으로 출입구를 두었다.

 화북진성을 중심으로 오늘날의 화북마을 모습이 상세하다. 화북진성 바로 남쪽에 ‘별도포리(別刀浦里)’라는 마을 이름이 선명하다.

 민가의 분포는 동쪽의 별도연대와 서쪽의 별도포구가 끝나는 지점까지 비교적 골고루 퍼져있지만, 연대 서쪽과 화북진성의 동문 지점 그리고 별도포의 안쪽 가장자리를 에워싸는 부근에 특히 많이 나타나 있다.

 별도포는 조선시대를 통틀어 제주도의 관문적 성격을 띠는 포구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에 시대적으로는 꽤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별도포(別刀浦)는 ‘벨돗개’의 한자 차용 표기로, 지금의 화북1동 포구를 이른다. 별도포리(別刀浦里)는 ‘벨돗개을’의 한자 차용 표기로, 지금의 화북1동을 이른다.

자료/저작권정보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 1994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각, 2001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연구회, 2000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고광민, 대원사, 2004 제주도지, 제주도, 1993 제주도포구연구, 고광민, 각, 2004 제주도지, 제주도, 2006 제주역사기행, 이영권, 한겨레신문사, 2004 제주문화자료총서4-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6 그 섬에 유배된 사람들, 양진건, 문학과 지성사, 1999 돌과 바람의 섬 신들의 나라 제주, 제주도, 2000 와치와 바치, 김순자, 각, 2006 한라산 총서-한라산의 동물,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포구, 좌승훈, 나라출판, 1996 제주도 전설, 현용준, 서문당, 1996 오름나그네, 김종철, 높은오름, 1995

유형
고문헌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703
저자명
제주시 제주목 관아
소장처
제주목 관아
조회
71
첨부파일
탐라순력도_제주목_화북성조.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