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순력도 - 제주목: 한라장촉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1702년(숙종 28) 4월 15일에 제작된 한라장촉은 현존하는 ‘독립된 제주도 지도’로는 매우 오래된 것 중의 하나다. 현대지도는 북쪽을 지도의 위쪽에 놓는데, 이 지도는 남쪽을 위로 놓았다. 남쪽을 지도의 위쪽에 놓는 것은 과거의 지도에서 종종 볼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제주도와 같은 섬 지방인 경우 본토인 한반도에서 바라보는 시점으로 그렸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많다. 그리고 24방위를 배치하고 해당 방향에 주변 지역을 그려 넣어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게 했다. 이는 본토에서 멀리 떨어진 섬이라는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주변에 그려진 외국 지명을 살펴보면 중국의 영파부(寧波府), 소주(蘇州), 항주(杭州), 양주(楊州), 산동성(山東省), 청주(靑州)를 비롯해 일본, 유구(琉球), 안남국(安南國), 섬라국(暹羅國), 만자가(滿刺加) 등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외국에 대한 인식은 중국을 통해 입수한 지식과 제주로 표류했던 외국인을 통해 전해들은 것으로, 당시 서양과 달리 먼 거리를 항해하는 게 제한되어 있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제주도 부분은 제주도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과 당시의 현실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제주목, 정의현, 대정현 등 삼읍 관아의 위치와 해안을 둘러가면서 설치되어 있는 방호소(防護所) 안 9개 진(화북진, 조천진, 별방진, 수산진, 서귀진, 모슬진, 차귀진, 명월진, 애월진)의 위치는 붉은 색으로 강조했다.

 또한 세 고을의 경계도 붉은 색 선으로 그려 넣었다. 이 그림에서는 당시 제주목과 대정현은 판포, 제주목과 정의현은 용항포, 대정현과 정의현의 경우는 법환포와 색수의 중간지점이 그 경계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산악, 도로, 마을이름, 하천뿐만 아니라, 80여 개의 포구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당시 포구의 분포를 짐작할 수 있다. 무엇보다 이 지도에서 특징적인 점은 중산간 지대에 설치되어 있었던 목마장이다. 목마장의 경계이기도 했던 돌담을 점선으로 그려 넣었으며 각 소장의 이름도 적어 넣었다.

 전통시대에 제작되는 많은 지도들은 이전 시기 지도들을 베껴내는 경우가 많은데, 한라장촉은 당시 실정과 정보들을 담아 새로운 모습으로 재창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지도 아래에는 지도의 제작시기와 당시 지방관의 이름, 각 방위를 따라 도달하는 지역까지의 거리가 기재되어 있다.

 

자료/저작권정보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 1994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각, 2001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연구회, 2000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고광민, 대원사, 2004 제주도지, 제주도, 1993 제주도포구연구, 고광민, 각, 2004 제주도지, 제주도, 2006 제주역사기행, 이영권, 한겨레신문사, 2004 제주문화자료총서4-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6 그 섬에 유배된 사람들, 양진건, 문학과 지성사, 1999 돌과 바람의 섬 신들의 나라 제주, 제주도, 2000 와치와 바치, 김순자, 각, 2006 한라산 총서-한라산의 동물,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포구, 좌승훈, 나라출판, 1996 제주도 전설, 현용준, 서문당, 1996 오름나그네, 김종철, 높은오름, 1995

유형
고문헌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703
저자명
제주시 제주목 관아
소장처
제주목 관아
조회
99
첨부파일
탐라순력도_제주목_한라장촉.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