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순력도 - 제주목: 승보시사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1702년(숙종 28) 윤6월 17일에 이형상 목사 자신이 시험관이 되어 시행한 시험장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시험장은 관덕정이다.

 이 그림은 선비들에게 승보시를 보이는 장면이다. 승보시는 본래 성균관 유생들에게 치러진 소과(小科)의 초시(初試)에 해당하는 시험인데, 지방에서는 개성, 제주, 수원에서 시행되었다.

제주의 경우 1639년(인조17) 심연(沈演)목사가 조정에 건의해 허락을 받고 실시됐는데, 고시관 3원(員 : 9품 이상의 관료에게 붙이는 칭호)이 매년 2명을 뽑아서 소과 복시(覆試)의 응시자격을 주었다.

 관덕정 중앙 상좌에 시험관인 목사가 홍삼(紅衫) 차림에 사모(紗帽)를 쓰고 엄숙한 분위기로 앉아 있다.

 그 약간 전면의 좌우에는 부시관(副試官)과 참시관(參試官)으로 보이는 두 사람이 고개 숙여 앉아 있고, 시험관 오른쪽 뒷면에는 사동(使童)이 엎드려있다.

 시험관을 중앙에 두고 관덕정 좌우에는 6방 관속들이 부동자세로 서있는데, 모두가 칼을 차고 있는 모습이다. 그 중에는 통인(通引)이 좌우에 각각 1명씩 서있다.

 계단 아래쪽 왼쪽에는 의관을 차려입은 유생 3명이 꿇어앉아 있고 오른쪽에는 주안상이 마련되어 있는데 그 옆에는 한 선비가 서있다.

 관덕정 앞뜰에는 큰 차일(遮日)을 쳐놓았으며 정면 좌우에는 시제(試題)가 4개의 대막대기 끝에 저마다 걸려있다. 그 앞에 깔아놓은 초석에는 붉은 옷을 입은 12명의 응시자가 한 줄로 나란히 앉아 과거에 응시하고 있다.

 응시자 좌우편에는 각각 녹기(綠旗)를 든 기수 4명과 집장사령(執杖使令) 4명이 배치되어 있다. 좌측 뒷면에는 고수(鼓手)가 대령해 있고 관덕정 좌측 전면의 높은 게양대에는 사자기(獅子伎)가 걸려 있다.

 관덕정 앞 왼쪽에는 포정루(布政樓)가 있는데, 2층 다락에 종과 북을 매달아 놓고 있다. 또 그 옆에는 군기청, 진무청, 기생청, 군기고, 병고, 북과원 등이 그려져 있고 전면 좌우에는

긴 집채인 회랑(回廊)이 그려져 있다.

 또한 중앙 전면에는 물림폭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이 물림폭은 과녁 뒤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휘장으로 사수(射手)가 150보 전방의 과녁을 향하여 활을 쏠 때 과녁을 조정하기 쉽게 만들어놓은 일종의 보조기구라고 할 수 있다.

자료/저작권정보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 1994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각, 2001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연구회, 2000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고광민, 대원사, 2004 제주도지, 제주도, 1993 제주도포구연구, 고광민, 각, 2004 제주도지, 제주도, 2006 제주역사기행, 이영권, 한겨레신문사, 2004 제주문화자료총서4-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6 그 섬에 유배된 사람들, 양진건, 문학과 지성사, 1999 돌과 바람의 섬 신들의 나라 제주, 제주도, 2000 와치와 바치, 김순자, 각, 2006 한라산 총서-한라산의 동물,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포구, 좌승훈, 나라출판, 1996 제주도 전설, 현용준, 서문당, 1996 오름나그네, 김종철, 높은오름, 1995

유형
고문헌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703
저자명
제주시 제주목 관아
소장처
제주목 관아
조회
57
첨부파일
탐라순력도_제주목_승보시사.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