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순력도 - 제주목: 공마봉진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진상에 필요한 말을 각 목장에서 징발하여 제주목사가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광경을 그린 그림이다. 1702년(숙종 28) 6월 7일에 실시되었다. 목자들이 자기가 관리하는 말들을 이끌고 목사 앞을 지나며 점검하고 있다.

 공마점검은 관덕정 앞에서 목사가 입회한 가운데 실시되었다. 공마봉진의 책임을 수행하기 위해 대정현감 최동제를 차사원(差使員)으로 임명했다.

 당시 봉진되었던 말은 어승마 20마리, 연례마 8마리, 차비마 80마리, 탄일마 20마리, 동지마 20마리, 정조마 20마리, 세공마 200마리, 흉구마 32마리, 노태마 33마리 등 총 433마리였고, 검은 소 20마리였다. 어승마와 차비마는 식년마다 바쳤으므로, 이 해가 식년에 해당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마는 다음 공과 같은 절차에 따라 봉진되었다.

1. 제주목사가 조정의 지시에 따라 그 할당량을 3읍의 감목관에게 배정한다.

2. 3읍의 감목관은 각 목장에 공마에 충당할 마필의 수집을 명한다.

3. 각 목장에서는 구마군·결책군·목자 등을 동원하여 공마를 가려낸다. 이때 미원장에 몰아넣은 마필들을 사장으로 통과시키면서 공마에 적합한 마필을 골라낸다.

4. 가려낸 공마를 소속 영문(營門)에 인도한다.

5. 제주·정의·대정 영문에서는 감목관의 책임 아래 습마(習馬) 6명이 각 목장에서 보내온 말의 마적(馬籍)·낙인자(烙印字)·말 주인(개인 말인 경우) 등을 확인한다.

6. 말의 나이, 키, 털빛, 건강, 조습실태 등을 조사하여 골라서 공마의 목록과 함께 보고한다.

7. 골라진 공마는 세목(細目)과 함께 조천포, 화북포로 운반해 진상선에 실어 조정에 바쳐진다.

자료/저작권정보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 1994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각, 2001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연구회, 2000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고광민, 대원사, 2004 제주도지, 제주도, 1993 제주도포구연구, 고광민, 각, 2004 제주도지, 제주도, 2006 제주역사기행, 이영권, 한겨레신문사, 2004 제주문화자료총서4-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6 그 섬에 유배된 사람들, 양진건, 문학과 지성사, 1999 돌과 바람의 섬 신들의 나라 제주, 제주도, 2000 와치와 바치, 김순자, 각, 2006 한라산 총서-한라산의 동물,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포구, 좌승훈, 나라출판, 1996 제주도 전설, 현용준, 서문당, 1996 오름나그네, 김종철, 높은오름, 1995

유형
고문헌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703
저자명
제주시 제주목 관아
소장처
제주목 관아
조회
60
첨부파일
탐라순력도_제주목_공마봉진.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