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제주학 아카이브

제주학연구센터에서 수집한 소장자료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탐라순력도 - 제주목: 귤림풍악

분야별정보 > 역사 > 제주사일반



 망경루 후원 귤림에서 풍악을 즐기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날짜가 기록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순력 일정에 포함되지 않았지만 그림에 나타나는 열매의 색깔로 보아 과일이 익어가는 시기인 듯 하다.

 귤나무들의 과일 색이 다른 것은 나무마다 품종이 다름을 표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제주성 안에는 동과원, 서과원, 남과원, 북과원, 중과원, 별과원 등 6개 과원이 있었는데, 이 그림의 정경을 보면 왼편 아래쪽에 망경루, 그 오른쪽에 귤림당, 오른쪽에 교방(敎坊), 위편에 병고(兵庫)가 있는 것으로 보아 '북과원'이다.

 과수원 주위에는 대나무를 심어 방풍을 하고 있다. 대나무는 화살용으로 공납을 했고, 대나무밭에 감귤을 저장하는 데도 요긴하게 이용되었다.

 과거에 제주도에서 심었던 대나무류는 왕대와 이대의 두 종류가 있었다. 이 그림의 대나무는 높이로 보아 크게 자라는 왕대로 추정된다.

 그림의 하단에는 임오년(1702년) 삼읍의 감귤 결실수를 표기하고 있는데, 당금귤 1,050개, 감자 48,947개, 금귤 10,831개, 유감 4,785개, 동정귤 3,364개, 산귤 185,455개,

청귤 70,438개, 유자 22,041개, 당유자 9,533개, 등자귤 4,369개, 석금귤 1,021개, 치자 17,900개, 지각 16,034개, 지실 2,255개 등으로 귤 종류와 개수를 상세하게 적고 있어, 당시 귤 관리가 얼마나 철저했는가를 엿보게 한다.

자료/저작권정보

탐라순력도(영인본), 제주시, 1994 문화의 원류와 그 이해, 송성대, 각, 2001 탐라순력도연구논총, 제주시·탐라순력연구회, 2000 제주도의 생산기술과 민속, 고광민, 대원사, 2004 제주도지, 제주도, 1993 제주도포구연구, 고광민, 각, 2004 제주도지, 제주도, 2006 제주역사기행, 이영권, 한겨레신문사, 2004 제주문화자료총서4-제주의 민속, 제주도, 1996 그 섬에 유배된 사람들, 양진건, 문학과 지성사, 1999 돌과 바람의 섬 신들의 나라 제주, 제주도, 2000 와치와 바치, 김순자, 각, 2006 한라산 총서-한라산의 동물, 제주도·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006 포구, 좌승훈, 나라출판, 1996 제주도 전설, 현용준, 서문당, 1996 오름나그네, 김종철, 높은오름, 1995

유형
고문헌
학문분야
역사 > 제주사일반
생산연도
1703
저자명
제주시 제주목 관아
소장처
제주목 관아
조회
104
첨부파일
탐라순력도_제주목_귤림풍악.jpg

제주학 아카이브에서 창작 및 제공하는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